반응형 자동차 용어1471 35. 공정분석(Process Analysis)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35. 공정분석(Process Analysis)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공정이라는 분석 단위로 대상물(재료, 반제품, 제품, 부자재 등)이 어떻한 경로로 처리되었는지 생성된 공정 순서에 따라 각 공정의 조건(가공 조건, 경과시간, 이동 거리 등)과 함께 분석하는 현상 분석 방법 2015. 10. 16. 34.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Biased Process)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34.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Biased Process)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도면에서 요구하는 조건(공차, 허용한계)과 공정 능력을 비교하여 공정 능력 만족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며 일반적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Cp>1.33: 공정능력 충분, 1.33≥Cp>1 : 공정 능력은 있으나 불충분, Cp≤1 : 공정능력 부족 2015. 10. 16. 10. 환경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경우 자동차의 배출가스 허용 기준 10. 환경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경우 자동차의 배출가스 허용 기준 1. 평균 배출량 관리제도(Fleet Average System) 적용 대상은 휘발유, LPG 자동차로 하고 제작사 규모별 평균 배출량 기준이다. 제작사의 선행 기술 개발 등 기준 대응을 위한 것이며 고시된 평균 배출량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각 제작사는 2010년부터 ‘극초저공해(SULEV : Super Ultra Low Emission Vehicle)’ 자동차를 일정 비율 이상 판매하여만 하고 대기 환경 개선 및 저공해 자동차 기술 개발을 촉진한다. 2. 경유 자동차에 대해 동일시기에 EURO-5 기준 적용 1) 경유 자동차의 차기 배출 허용 기준으로 유렵에서 시행 중인 EURO-5 기준을 유럽과 동일 시기에 한다. 2) 환경부에서는 국.. 2015. 10. 16. 33. 공정능력(Process Capability)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33. 공정능력(Process Capability)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소정의 절차에 의해 일정기간 기대되는 안정상태의 공정에서 경제적인 특정 조건의 허용 범위내에서 도달할 수 있는 공정의 달성 능력을 말하고 그것은 공정에서 만들어진 결과의 특정 특성으로서 표시한다. 2015. 10. 16. 32. 공정관리(Process Control)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32. 공정관리(Process Control)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원자재의 구입부터 최종 완제품 인도에 이르기까지 전체의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물류의 흐름에 대하여 지시하고 조정하는 활동으로써 공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예방원칙에 의거거한 관리활동 2015. 10. 16. 31. 공정(Station)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31. 공정(Station)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일반적으로 단위 작업을 수행하는 공장의 기본 작업장 단위 2015. 10. 16. 이전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