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1471

22. 에어 컨디셔너(Air Conditioner) [자동차 용어: 섀시] 22. 에어 컨디셔너(Air Conditioner) [자동차 용어: 섀시]공기 조화 장치이며 에어컨이라고도 한다.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바깥 온도보다 낮추는 장치로서 제습작용이나 공기 여과기를 두어 실내 공기 속의 먼지도 제거한다. 냉미인 프레온 가스가 회로 내부를 순환 하면서 액체→기체→액체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형식이며, 콘덴서, 컴프레셔, 송풍기, 이베퍼레이터, 온도 감지 튜브 및 팽창 밸브 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4. 10. 30.
21. 할로겐 램프(Halogen Lamp)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21. 할로겐 램프(Halogen Lamp)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석영관에 할로겐 화합물을 봉입하고 할로겐과 텅스텐의 재생 순환 반응을 이용하여 수명을 길게 하고 빛의 감쇠를 방지한 램프.보통 전구는 불을 켜면 텅스텐이 증발하여 유리 내벽에 검게 달라 붙지만 할로겐 램프에서는 증발한 텅스텐이 할로겐 원소와 화합한 뒤 고온에서 해리되어 필라멘트에 다시 붙는 반응을 되풀이 한다 할로겐 램프는 전구만 교환하면 되지만 값이 조금 비싸며, 차 모양에 어울리는 독특한 모양의 헤드 램프를 설계할 수 있다. 2014. 10. 30.
20. 실드 비임식(Sealed Beam Type) 헤드 램프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20. 실드 비임식(Sealed Beam Type) 헤드 램프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밀폐식 전조등.알루미늄을 진공 증착시킨 유리 반사경의 초점에 필라멘트(하이비임 및 로우비임 필라멘트)를 설치하고, 여기에 앞 렌즈를 용착한 후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넣고 봉한 것으로 전구 자체가 하나의 헤드램프가 되면 물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아 반사경이 흐려지지 않고 광도의 변화가 적은 장점이 있다. 2014. 10. 29.
19. MF 축전지(Maintenance Free Batter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19. MF 축전지(Maintenance Free Batter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무정비 축전지.보통 축전지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자기 방전이나 화학 반응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전해액의 감소를 적게 하기 위해 개발딘 배터리로서, 증류수를 보충할 필요가 없고, 자기방전이 적으면,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납-안티몬 합금을 사용하는 일반 배터리와는 달리, MF는 전해액의 감소나 자기 방전의 원인이 되는 안티몬의 양을 감소한 저안티몬 합금이나 납-칼슘 합금을 사용하여 무정비화가 가능하며, 전기 분해에서 발생하는 수소 가스나 산소 가스를 촉매로 사용하여 다시 물로 환원시킴으로써 전해액의 수분 보충이 필요치 않다. 2014. 10. 29.
18. 자기 방전(Self Discharge)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18. 자기 방전(Self Discharge)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축전지가 무부하 상태에 있을 때 자연히 방전되는 현상.자기방전은 주위 환경이나 축전지 내부 상황에 따라 다르다. 즉, 전해액의 비중이 높을수록, 주위의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방전량이 크며 사용 기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자기 방전량은 축전지 실용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며 보통 0.3~1.5% 정도이다. 2014. 10. 29.
17. 전해액 비중(Electrolyte Specific Gravit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17. 전해액 비중(Electrolyte Specific Gravit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비중이란 물체의 중량과 그 물체의 같은 부피의 물(4℃)과의 중량비를 뜻함.진한 황산의 비중은 1.835이며, 전해액 비중은 축전지(Battery)가 완전 충전 상태일 때 25℃에서 1.240, 1.260, 온대 지방에서는 1.260, 한냉 지방에서는 1.280을 사용한다. 축전지에 어는 정도의 전기가 축적되어 잇는가를 아는 방법으로써 보통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한다. 2014.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