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운전/관리13

60. 자동차 하부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 60. 자동차 하부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엔진부를 물로 닦으면(또는 고압세차) 엔진부에 위치한 전기회로 또는 에어덕트로 물이 유입되어 정상적인 차량 운전이 불가능 할 수 있다.차를 세척한 뒤, 서행하면서 브레이크를 시험해서 브레이크가 물에 영향을 받았는지 점검 하도록 하도록 한다. 2014. 12. 14.
57. 자동차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 57. 자동차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1. 자동세차기에서의 세차는 차체의 잔긁힘을 만들어 도장면이 손상될 수도 있다.2. 램프 세척 및 손질 시 휘발유나 아세톤 또는 휘발성 유기용제(초강력 세정제)등의 화학 용제 사용은 램프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3. 타이어 알루미늄 휠 부분 세척시, 산성계 세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휠 도장면이 손상될 수 있다.4. 세차 시 도어 실링부 및 위쪽 유리부를 통해 실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고압세척기 사용시 특히 주의 하도록 한다.5. 자동 세차 후 앞유리 표면 왁스는 완전히 제거하도록 한다. 와이퍼 작동 시 떨림 및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014. 12. 11.
53. 타이어 교체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 53. 타이어 교체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1. 휠 너트를 조일 때 발로 밟아서 조이지 말 것. 볼트, 너트가 파손될 수 있다.- 한번에 규정 토크로 조여 주지말고 여러 번으로 나눠서 조인다. 타이어를 고정시켜 주는 조임 상태는 매우 중요한다. 조임 상태에 대해 자신이 없으면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 협력사에 점검을 받도록 한다.- 임시 타이어를 장착한 후에는 가능한 빨리 공기압을 점검하고, 필요하면 규정 공기압으로 조정한다.2. 타이어를 장착할 때 부착 부위가 더러우면 너트가 이완되는 원인이 되므로 타이어가 닿는 모든 면을 청소하고 나서 장착하도록 한다. 또한 휠 너트의 나사부가 마모되어 있으면 디스크 휠에 변형이나 균열이 일어나므로 교체하도록 한다.3. 너트는 기존의 너트나.. 2014. 12. 9.
52. 자동차 운행 중 펑크 시 타이어 교체 방법 [자동차 운전/관리] 52. 자동차 운행 중 펑크 시 타이어 교체 방법 [자동차 운전/관리]1. 주행 중에 타이어가 펑크 났을 때는 비상 경고등을 켜고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어 서서히 감속 시킨 후 가볍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를 도로 옆 교통 소통이 적은 견고하고 평탄한, 안전한 곳에 주차 하도록 한다.2. 주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는다.3. 변속레버를 자동변속기 차량는 [P(주차)], 수동변속기 차량은 [1단 또는R(후진)]에 위치 시킨다.4. 차량 후방에 비상용 삼각판을 세워 통행하는 차량에 주의를 준다. 반드시 비상 경고등을 켜고 특히 고속도록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차량 후방(주간 100m, 야간 200m)에 고장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비상용 삼각판을 설치하도록 한다.5. 임시 타이어, 잭과 잭 핸들 및 공구를 .. 2014. 12. 9.
51. 임시 타이어 사용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 51. 임시 타이어 사용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1. 임시 타이어를 탈거 후 재장착 시에는 확실히 고정한다. 만약 장착 후 유동이 있는 경우는 재장착하는거나,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에서 점검을 받도록 한다.2. 임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할 때는 장착 방향을 반드시 준수하여 장착하도록 한다.3. 임시 타이어를 손이나 발로 흔들어 흔들림이 없이 제대로 장착 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한다.4. 눈길이나 빙판길을 운행해야 하는 경우는 임시 타이어는 뒤쪽 타이어에만 장착한다. 앞타이어 펑크시 뒷타이어를 앞쪽으로 이동 후 뒷타이어에 임시 타이어를 장착한다.5. 임시 타이어 장칙시 주행속도 60km/h(최소속도 80km/h) 및 공기압 60psi를 반드시 지킨다.6. 임시 타이어를 장착한 후 신속히 가까운 직영 .. 2014. 12. 8.
50. 임시 타이어 장착 및 사용 [자동차 운전/관리] 50. 임시 타이어 장착 및 사용 [자동차 운전/관리]장착 타이의 펑크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일반 타이어로 교체할 수 있는 곳까지 이동할 동안에 사용하는 타이어이다. 일반 타이어 대비 중량과 부피가 적용 차량을 연비를 향상시키고 일반인들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반면 일반 타이어에 비해 내구 성능 및 주행 성능이 떨어져 장거리 및 고속 주행을 해서는 안되면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한다. 2014.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