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정비69

[1.자동차 정비:엔진] 5. 엔진 과열할 때 원인은? [1.자동차 정비:엔진] 5. 엔진 과열할 때 원인은? 엔진 과열할 때는 아무래도 냉각 계통에 이상이 생긴 경우가 많다. 아울러 냉각계통과 더불어 엔진 자체의 센서류도 같이 점검해 보도록 하자.1) 냉각팬(Cooling Fan) 작동 불량2) 라디에이터 코어(Radiator Core) 막힘3) 서모스타트 불량(닫힘 상태로 고착)4)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작동 불량5) 헤드 개스킷(Head Gasket), 헤드(Head)불량6) 워터 펌프(water pump) 불량7) 실린더 블록의 깨짐 혹은 냉각수로 누수8) 냉각수 부족 혹은 라디에이터 누수------------------------------------------------------------------------------.. 2014. 9. 25.
21. [자동차 정비 주기] 1만5천km(15,000km) 주행 후 자동차 정비점검 항목 21. [자동차 정비 주기] 1만5천km(15,000km) 주행 후 자동차 정비점검 항목□ 공조 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점검: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 시 교환 * 관련 용어2014/09/23 - [자동차 운전/관리] - 20. 1만(10,000)km 자동차 주행 후 정비점검 항목 [자동차 정비 주기]2014/09/22 - [자동차 운전/관리] - 19.1년간(12개월) 마다 점검 항목[자동차 정비 주기] * 참조 : 산타페 취급 설명서 2014. 9. 25.
[1. 자동차 정비: 엔진] 4. 엔진 과열시 손상이 예상되는 부위를 정비해 보자 [1. 자동차 정비: 엔진] 4. 엔진 과열시 손상이 예상되는 부위를 정비해 보자엔진 과열시 수리가 예상 되는 부위는 아래와 같다. 차근차근 확인해 보도록 하자.1) 헤드 개스킷이 파손 되었다.2) 실린더 헤드의 균열, 변형 되었다.3) 밸브 가이드 실, 밸브의 소손4) 피스톤, 링, 라이너가 소결 되었다.5) 커넥팅 로드의 휨, 크랭크 베어링 소착, 실린더의 변형-------------------------------------------------------------------------------------------------------------- 중고 자동차 점검 및 매매 지원 서비스(www.korea-autonews.com) (https://korea-autonews.tistory.com/.. 2014. 9. 24.
20. 1만(10,000)km 자동차 주행 후 정비점검 항목 [자동차 정비 주기] 20. 1만(10,000)km 자동차 주행 후 정비점검 항목 [자동차 정비 주기]□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배기 파이프(머플러)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주차 브레이크 행정 조정□ 에어 클리너 필터 점검□ 조향 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타이어 위치 교환□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관련 자료2014/09/22 - [자동차 운전/관리] - 19.1년간(12개월) 마다 점검 항목[자동차 정비 주기]2014/09/13 - [자동차 운전/관리] - 14. 엔진 시동이 안 걸릴 때 (자동차 정비) 2014. 9. 23.
19.[자동차 정비 주기]1년간(12개월) 마다 점검 항목 19. [자동차 정비 주기]1년간(12개월) 마다 점검 항목 □ 에어컨 냉매 점검□ 에어컨 작동 상태 점검□ 진공 관련 호스 손상 및 탈거 유무 점검(EGR바이패스 밸브 진공 호스) * 관련 용어2014/09/09 - [자동차 운전/관리] - 12. 차량의 일상 점검법2014/09/07 - [자동차 운전/관리] - 11. 1일 1회 일상 차량 점검법 2014. 9. 22.
18. 디젤 차량 일일 점검 항목 [자동차 정비] 18. 디젤 차량 일일 점검 항목 [자동차 정비]1. 각종 전기 장치 점검2. 각종 오일 누유, 냉각장치의 누수 여부 점검3. 냉각 수량 점검 및 교체(최초 교체 : 20만km 또는 10년, 최초 교체 후 4만km 또는 매2년마다 교체)4. 배터리 상태 점검5. 브레이크/클러치 액 점검6. 시동 불능 시(재시동 3회 이내 제한) 점검7. 앞 바퀴 정렬 상태 점검(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8. 연료필터 물 배출9. 엔진 부조 시 점검10.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점검11. 연료라인 및 연결부 누유 점검12. 연료량 점검(연료부족 경고등 점등시 즉시 주유)13. 연료호스, 연료 주입구 캡 점검14. 브레이크 페달 유격(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점검15. 타이어 공기압, 마모상태 점검 2014.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