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차체 개발2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1. 개 요 차체는 엔진롬, 펜더, 필러, 플로워, 루프레일, 트렁크룸으로 구성되며 탑승자의 안전성과 거주성 등을 확보하는 역할이다. 2. 차체 설계 요구 조건 1) 안전하고 편안한 거주 공간 확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고,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견고함과 더불어 쾌적함과 정숙성을 제공해야 한다. 2) 아름다운 스타일링 엔진이나 레이아웃에서 차체의 구조나 형상 등이 아름다운 스타일링과 기능을 양립시켜야 한다. 3) 주행에 필요한 부품 탑재 엔진 및 서스펜션 시스템 등에 적당한 강도와 강성이 필요하다. 4) 충돌성능 차량의 운동 에너지가 차체의 변형 에너지로 변화될 때 탑승자에게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 1) 충돌 성능의 기술동향 CAE.. 2015. 11. 4.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1. 개요 승용차의 차체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되면 일체 구조, 프레임 장착 구조,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가 있다. 이 중에서 모노코크 바디는 일체 구조로 된 차체이며,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에 유리하게 때문에 대부분의 양산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모노코크이 바디의 개발 추세는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를 위해 TWB와 고장력 강판 등을 적용하고 있다. 2. 모노코크 바디의 구조 박판으로 섀시 부품을 직접 바디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설치부의 강성 확보 등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멤버를 갖추거나 부분 프레임에 섀시 부품을 설치한 후 바디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1) 장점 차실을 낮게 할 수 있어서 차량의 높.. 2015.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