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2 15. Dual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5. Dual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 원리 Idle시에 밸브 오버랩을 두지 않아서 연소실 압력을 높여 완전 연소율을 향상시켰으며, 흡기관 역류를 방지하여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부분 부하 시 기존의 싱글 CVVT는 흡입 행성시 흡기 밸브를 진각시켜 펌핑일을 감소 시켰으나 듀얼 CVVT는 흡기 밸브는 최지각하고 배기 밸브를 지각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1) 밸브 오버랩 구간에서의 펌핑 일 감소 2) 잔류 가스양 증가로 인해 흡기압 상승 3) 흡기밸브 닫힘 시기를 지각하여 흡기압을 상승시킨다. 2. CVVT의 효과 1) PMEP(Pumping Mean Effective Pressure)감소로 연비를 향상시킨다... 2015. 10. 23. 14.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4.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 CVVT의 개요 엔진 회전수 및 차량의 부하에 따라 흡기 캠 샤프트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밸브 오버랩의 변화가 생기며 Emission 저감, 연비향상, 성능 향상, 공회전 안정화를 얻는다. 배기밸브가 상사점 이후에도 열려 있으면 배기의 관성 효과로 배출이 촉진되고, 이때 흡기 밸브를 상사점 직전에 열어 주면 신기가 배출 가스 관성이 빨려 들어 가므로 체적 효율이 향상 된다. CVVT는 흡기밸브 여닫는 시기와 오버랩의 변화를 준다. 1) Idle(Retard) 연소실 압력을 높여 완전연소 향상, 오버랩이 없으므로 흡기관 역류 방지로 엔진 아이들 안정화 2) 저/중부하(Advan.. 2015. 10.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