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71

120. 연료 압력 조절기(Fuel Pressure Regulator)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20. 연료 압력 조절기(Fuel Pressure Regulator)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인젝터로 압송된 연료의 압력을 규정된 수준으로 유지하는 장치제작사에 따라 맥동완충기(Pulsation Damper)라고도 한다. 2014. 11. 3.
119. 인젝터(Injector) [자동차 용어 : 엔진/기관] 119. 인젝터(Injector) [자동차 용어 : 엔진/기관]연료분사노즐.인젝터는 연료를 뿜어줄 뿐 아니라 연료가 공기와 잘 섞이도록 안개 형태의 미립자가 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계식 분사는 스프링을 위로 올려서 열리는 밸브가 연료에 압력을 가한 동안만 분사하는 방식이며, 전자제어식 연료분사는 전기 흘렀을 때만 열리는 밸브가 미리 연료에 압력을 걸어 두었다가 전류가 흐르는 시간 동안만 분사하는 방식인데 현재 대부분의 차량은 전자제어식 연료분사를 채택하고 있다. 2014. 11. 3.
118. 연료 펌프(Fuel Pump)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18. 연료 펌프(Fuel Pump)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연료탱크의 연료를 기화기 또는 스로틀 보디에 공급하는 장치.가솔린 엔진용으로는 다이어프램식을 사용하며 그 구동방식으로는 기계식, 전기식, 기압식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자제어 분사방식 차량은 전기식, 기화기 방식 차량은 기계식을 채택하고 있다. * 관련 용어2014/09/19 - [자동차 용어/엔진용어] - 39. 기화기(Carburetor) [자동차 용어 : 엔진]2014/11/03 - [자동차 용어/엔진용어] - 117. 스로틀 보디(Throttle Body)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2014. 11. 3.
117. 스로틀 보디(Throttle Body)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17. 스로틀 보디(Throttle Body)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전자제어 분사제어 방식 엔진에서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인젝터로 보내는 장치일반 가솔린 엔진의 기화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 관련 용어2014/09/19 - [자동차 용어/엔진용어] - 39. 기화기(Carburetor) [자동차 용어 : 엔진] 2014. 11. 3.
116. 가열공기 흡입 장치(Heated Air Intake System)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16. 가열공기 흡입 장치(Heated Air Intake System)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외기 온도의 변화에 관계 없이 일정 온도의 공기를 에어 크리너로 유입시키는 장치.기화기에서의 기화를 촉진시켜 CO와 HC의 배출을 줄이고 엔진의 웜-업 특성을 향상시키며 기화기의 아이싱(Icing)을 최소한으로 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전자 분사방식의 경우는 에어크리너 내에 흡기온 센서가 있어 가열공기 흡입장치가 따로 필요 없다. * 관련 용어2014/09/19 - [자동차 용어/엔진용어] - 39. 기화기(Carburetor) [자동차 용어 : 엔진] 2014. 11. 3.
36. [자동차 정비 주기] 13만km(130,000km) 주행 후 자동차 정비점검 항목 36. [자동차 정비 주기] 13만km(130,000km) 주행 후 자동차 정비점검 항목□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배기 파이프(머플러)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타이어 위치 교환□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점검□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2014.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