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71

20. 실드 비임식(Sealed Beam Type) 헤드 램프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20. 실드 비임식(Sealed Beam Type) 헤드 램프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밀폐식 전조등.알루미늄을 진공 증착시킨 유리 반사경의 초점에 필라멘트(하이비임 및 로우비임 필라멘트)를 설치하고, 여기에 앞 렌즈를 용착한 후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넣고 봉한 것으로 전구 자체가 하나의 헤드램프가 되면 물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아 반사경이 흐려지지 않고 광도의 변화가 적은 장점이 있다. 2014. 10. 29.
19. MF 축전지(Maintenance Free Batter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19. MF 축전지(Maintenance Free Batter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무정비 축전지.보통 축전지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자기 방전이나 화학 반응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전해액의 감소를 적게 하기 위해 개발딘 배터리로서, 증류수를 보충할 필요가 없고, 자기방전이 적으면,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납-안티몬 합금을 사용하는 일반 배터리와는 달리, MF는 전해액의 감소나 자기 방전의 원인이 되는 안티몬의 양을 감소한 저안티몬 합금이나 납-칼슘 합금을 사용하여 무정비화가 가능하며, 전기 분해에서 발생하는 수소 가스나 산소 가스를 촉매로 사용하여 다시 물로 환원시킴으로써 전해액의 수분 보충이 필요치 않다. 2014. 10. 29.
18. 자기 방전(Self Discharge)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18. 자기 방전(Self Discharge)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축전지가 무부하 상태에 있을 때 자연히 방전되는 현상.자기방전은 주위 환경이나 축전지 내부 상황에 따라 다르다. 즉, 전해액의 비중이 높을수록, 주위의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방전량이 크며 사용 기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자기 방전량은 축전지 실용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며 보통 0.3~1.5% 정도이다. 2014. 10. 29.
17. 전해액 비중(Electrolyte Specific Gravit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17. 전해액 비중(Electrolyte Specific Gravity)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비중이란 물체의 중량과 그 물체의 같은 부피의 물(4℃)과의 중량비를 뜻함.진한 황산의 비중은 1.835이며, 전해액 비중은 축전지(Battery)가 완전 충전 상태일 때 25℃에서 1.240, 1.260, 온대 지방에서는 1.260, 한냉 지방에서는 1.280을 사용한다. 축전지에 어는 정도의 전기가 축적되어 잇는가를 아는 방법으로써 보통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한다. 2014. 10. 29.
16. 오토크루즈 컨트롤 시스템(Auto Cruise Control System) [자동차 용어:전기/전자] 16. 오토크루즈 컨트롤 시스템(Auto Cruise Control System) [자동차 용어:전기/전자]전자식 정속 주행장치.주행 속도가 40km/h~100km/h 사이에서 운전자가 희망하는 속도록 스위치를 조작하면 컴퓨터가 차속을 기억하여 엑셀 페달을 밟지 않고도 주행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장거리 고속 주행 시 운전자의 피로 감소, 연료 절감 및 쾌적한 운행을 제공한다. 2014. 10. 29.
15. 전해액(Electroyte)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 15. 전해액(Electroyte) [자동차 용어: 전기/전자]무색, 무취의 순도 높은 황산.축전지(Battery) 내부의 화학 작용 및 각 극관 사이의 전류 전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4.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