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안전,관리,사용법173

17.배터리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시 주의할 사항 [자동차 정비] 17.배터리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시 주의할 사항 [자동차 정비]- 점프 스타트 중에 점프 케이블의 양근(+)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한다. 서로 닿을 경우, 불꽃이 튀어 위험하다.- 배터리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불꽃에 의해 폭발할 수 있는 가스가 발생되므로 배터리로부터 불꽃을 멀리 하자.- 방전된 배터리가 얼었거나 배터리액의 양이 적으면 점프 스타트 시 배터리의 파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다.- 보조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할 때는 방전된 배터리의 음극(-)단자를 직접 연결하지 마시고 배터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견고한 금속에 접지 시키십시오. 직접 연결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배터리에는 부식결이 강한 묽은 황산액이 있으므로 배터리액이 신체나 옷, 차체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고, .. 2014. 9. 19.
16. 배터리 방전 시 점프 케이블의 연결 순서 [자동차 정비] 16. 배터리 방전 시 점프 케이블의 연결 순서 [자동차 정비]배터리가 방전 되는 경우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사용한지 오래 되거나(보통 3년 이상) 혹은 겨울철 엔진이 냉각된 상태에서 배터리가 약한 경우에 시동에 몇번 실패하게 되면 바로 방전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오랫 동안 차량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최소 3개월 이상)에도 자연 방전되는 경우도 있고, 차량 블랙 박스도 차량 주차에 후에도 계속 가동시에는 배터리 소모에 영향을 준다.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타차량의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 수가 있다. 점프 스타트는 잘못하면 대단히 위험하므로 전문가에게 의뢰 하도록 하고, 혹시 혼자서 해야 할 경우 반드시 아래 순서에 따르도록 한다.1. 보조 배터.. 2014. 9. 15.
15. 자동차 엔진 오버히트(Over Heat) 과열 시 조치법 (자동차 정비) 15. 자동차 엔진 오버히트(Over Heat) 과열 시 조치법 [자동차 정비]1) 발생 조건 꼭 기온이 높을 때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냉각수가 부족할 때, 한랭 시 냉각수 중에 부동액이 들어있지 않을 경우나, 엔진 내부가 동결되어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을 때도 오버히트가 발생할 수 있다. 냉각수의 비율이 너무 높거나 낮아도 냉각 성능이 떨어져 오버히트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예방 대책 냉각수는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자. 냉각수 수온계가 장시간 적색 눈금을 가리키면 엔진 오버히트가 발생되며, 엔진의 출력이 떨이지고 엔진이 너무 뜨거워 노킹(Knock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는 즉시 차를 멈추고, 엔진을 가동 시킨 상태에서 후크를 열어 천천히 엔진을 식히도록 하자.*관.. 2014. 9. 14.
14. 엔진 시동이 안 걸릴 때 (자동차 정비) 14. 엔진 시동이 안 걸릴 때 (자동차 정비)일반적으로 엔진 시동이 안 걸릴 때는 당황하지 말고, 아주 기초적인 부분부터 차근차근 확인 하도록 하자. 시동이 안 걸리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첫째는 시동모터가 회전하지 않거나, 시동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다음을 확인해 보자.1. 시동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때 - 배터리의 방전 상태, 배터리 단차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자. - 자동변속기 차량은 변속레버가 P(주차) 또는 N(중립) 위치에서만 시동이 걸리므로 다른 위치에 있지 않은지 점검하자.2. 시동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 연료량을 점검한다. 위의 두 가지 경우의 문제점을 확인 한 후에도 엔진 시동이 불가할 경우에는 정비소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도록 .. 2014. 9. 13.
13. 가혹 조건의 차량 운행 시 차량 정기 점검 13. 가혹 조건의 차량 운행 시 차량 정기 점검일반적으로 자동차 운행 조건이 일반적인 조건이 아닌 아래와 같은 가혹 조건에서 운전 시는 반드시 운행 후 차량을 정기 점검해야 한다.1.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2.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을 주행했을 때3.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때4. 32도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50%이상 주행했을 때5. 험한 길(모래자갈길, 눈길, 비포장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겨웅6.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7.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8. 고속주행(170km/h이상)의 빈도가 높은 경우9.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으로 주행 할 경우10. 소금, 부식물질 또는 한랭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조.. 2014. 9. 10.
12. 차량의 일상 점검법 12. 차량의 일상 점검법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여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기도 합니다. 반드시 실시하십시요. 1. 엔진룸을 열고 점검항목들 1) 엔진 - 시동이 용이하고 연료, 엔진오일, 냉각수가 충분한지 확인한다.- 누수, 누유는 없는지 확인한다.- 구동벨트의 장력은 적당하고 손상된 곳은 없는지 확인한다.2) 변속기- 누유는 없는지 확인한다.3) 기타 - 브레이크액, 클러치액,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지 확인한다.2. 차의 외관에서1) 엔진 - 배기가스의 색깔은 깨끗하고 유독가스 매연의 배출이 없는지 확인한다.2) 완충 스프링- 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균열이 없는지 확인한다.3) 바퀴- 타이어의.. 2014. 9.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