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안전,관리,사용법173

169.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설정 표시등(LDWS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점등 시 증상 169.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설정 표시등(LDWS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점등 시 증상버튼을 누르면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설정 표시등이 흰색(준비 상태)으로 켜지며, 작동 시 녹색으로 계기판에 켜집니다.차선이탈 경보 시스템에 이상이 있으면 표시등이 황색으로 켜집니다.황색으로 켜질 경우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설정 표시등 ※ LDWS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참조 : 아반떼 취급설명서 2016. 4. 24.
168. 아반떼 디젤 예열 표시등 점등 시 증상 및 조치 방법 168. 아반떼 디젤 예열 표시등 점등 시 증상 및 조치 방법예열 플러그의 예열상태를 표시한다. 표시 조건• 시동 「ON」 상태가 되면 켜지고 예열 플러그의 예열이 완료되면 꺼집니다. 표시등이 꺼지지 않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엔진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예열 표시등이 꺼지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예열 표시등 점등 시 조치 사항• 엔진 시동 후 차량 주행 중에 지속적으로 예열표시등이 깜빡이는 경우에는 차량 주행(자동 변속기 차량)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정비소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도록 한다.• 예열 표시등이 깜빡이면 예열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가능한 빨리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으십시오. 방치하면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습니다.• 충분한 예열시간(최대 10.. 2016. 4. 23.
167. 긴급제동 시스템(AEB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경고등 점등 시 조치 167. 긴급제동 시스템(AEB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경고등 점등 시 조치일반적으로 시동 「 ON」 상태에서 표시등이 켜지고, 이상이 없으면 약 3초 후 꺼집니다.긴급제동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켜집니다. 시동 후에도 계속 긴급 제동 시스템이 점등되면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를 찾아 정비 하도록 하자.※ AEB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긴급제동 시스템(AEB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2016. 4. 22.
165.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보는 법? 165.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보는 법?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현대차 아반떼 취급설명서 참조) ※ 회전저항 (RRC) :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에 대한 회전저항의 비- 1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소비 효율이 높아집니다.※ 젖은 노면 제동력 (G) : 기준 타이어 대비 시험대상 타이어의 젖은 노면 제동성능 비율- 1 ~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력이 좋습니다. 2016. 4. 11.
165. 자동차 법규상의 차종 분류법은? (운행차 기준) 165. 자동차 법규상의 차종 분류법은? (운행차 기준)자동차는 법규상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 됩니다.최소한 자기 자동차가 어떤 규격인지는 알아 봅시다. -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의 차종 구분은 자동차관리법 제3조 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에 따름.먼저 보통 경차라 부르는 차종으로 모닝, 스파크가 이에 해당합니다.1. 경자동차 : 배기량 1000cc 미만의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자동차 경자동차 모닝 이외에 경차를 제외한 소형차/준중형차/중형차/준대형차/대형차를 전부 합쳐서 승용 자동차로 합니다. 보통 10인 이하를 말합니다.2. 승용자동차 : 10인 이하를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현대 자동차 아반떼 승합자동차는 보통 미니밴이라 부르는 차량으로 11인 이상을 운.. 2016. 3. 15.
164. 현대자동차 산타페 DM 퓨즈 박스의 위치와 퓨즈 라벨 164. 현대자동차 산타페 DM 퓨즈 박스의 위치와 퓨즈 라벨현대 자동차 산타페 DM 퓨즈 박시의 위치산타페 DM의 퓨즈는 박스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운전전 앞 왼쪽에 있고, 하나는 엔진룸 배터리 옆에 있고, 마지막으로 하나는 엔진룸 오른쪽에 있다. 기본적으로 이 위치를 알고 있어야 전기적 고장이 발생했을 때 원인을 찾기가 쉽다. 퓨즈의 기능전기 회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에 장착된다. 그래서 자동차 퓨즈가 끊어지면, 시동이 안 걸리거나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거나, 헤드램프가 켜지지 않거나, 실내 램프가 켜지지 않거나, 리어 콤비램프나 자동차 냉각팬 등이 작동하지 않는다.자동차 장기간 미 사용 시 퓨즈는 OFF 하도록 한다.운전석 앞 왼쪽에 OFF 스위치로 하면 자동차의 모든 전원 .. 2016.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