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용어/조립/의장/트림 용어116 50. 벨트라인(Belt Line) [자동차 용어: 조립/의장/트림] 50. 벨트라인(Belt Line) [자동차 용어: 조립/의장/트림]바디 측면 중앙이나 아래 부근에 수평으로 그어진 선으로서 차체는 낮게 보이도록 하고 전후를 길고 스마트하게 보이는 효과를 주는 측면 포인트다. 웨이스트라인이라고도 한다. 벨트라인과 캐릭터 라인이 구분 안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2016. 3. 25. 49.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49.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장착 위치자동차 지붕 끝이나 트렁크리드 후면에 부착된 바람맞이 판이다.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기능원래 고속으로 달리는 레이싱카에 부착되던 장치로 고속에서 자동차 후미가 들리지 않도록 해주는 기능이 있다.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는 고속 주행 시 맞받는 바람을 이용해 차체가 뜨지 않게 해주어 주행 안정성을 높이고 구동력 제동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그러나 통상의 주행 시에는 큰 효과가 없는 장치로서 보통 액세서리 개념으로 달리는 경우가 많다. 2016. 3. 24. 48. 에어 인테이크(Air Intake)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48. 에어 인테이크(Air Intake)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외부공기를 유입하는 덕트(Duct)를 말한다. 윈드실드 바로 아래 본네트 부분에 길게 배열된 형태의 공기흡입구는 실내 공기순환을 위한 곳. 보네트 중앙에 달리는 정면을 바라보며 나 있는 곳은 터보 인터쿨러의 코어(Core)를 냉각시키기 위한 흡입구이다. 라디에이터 그릴과 마찬가지로 범퍼 아래 나있는 큰 면적(눈에 잘 띄지 않는다)의 흡입구는 엔진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2016. 3. 23. 47. 루프 랙(Roof Rack) [자동차 용어 : 의장/조립/외장/트림 부품] 47. 루프 랙(Roof Rack) [자동차 용어 : 의장/조립/외장/트림 부품]루프 랙(roof rack)의 기능자동차 지붕 위에 화물을 싣기 위한 장치이다. 루프 랙(roof rack)의 종류적재함 형태의 드롭식과 덮개를 덮을 수 있는 캡식이 있다. 보통 짐을 싣는 이런 형태를 루프 캐리어라고도 한다. 적재물 종류에 따라 사이클/자전거 캐리어, 스키/보드 캐리어 등의 전용 랙도 있다. 2016. 3. 22. 46. 자동차 와이퍼(Wiper) [자동차 용어: 의장/트림/조립] 46. 자동차 와이퍼(Wiper) [자동차 용어: 의장/트림/조립]자동차 주행 중 윈드실드에 묻는 비나 흙탕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차의 형태에 따라 윈드실드 외에 리어 윈도우나 사이드 윈도우, 사이드 미러와 헤드램프를 닦아주는 와이퍼도 있다. 부품 구성으로는 유리면에 접촉해 닦아주는 역할을 해주는 칼날 형태의 고무 재질이 블레이드(Blade), 블레이드를 움직여주는 것이 와이퍼 암(Wiper arm)이라고 한다. 2016. 3. 20. 45. 윈드실드(Wind Shield) [자동차 용어: 의장/트립/조립] 45. 윈드실드 그라스(Wind Shield Glass) [자동차 용어: 의장/트립/조립]본래는 윈드실드 글라스라고 말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론트 글라스(앞 유리)를 윈드실드라고 부른다. 윈드실드는 앞쪽의 바람을 차단하는 기능과 전방의 운전 시야를 확보을 한다. 2016. 3. 1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