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조립/의장/트림 용어116

57. 단위부품 그룹(Uniform Parts Group) [자동차 용어: 조립, 시트] 57. 단위부품 그룹(Uniform Parts Group) [자동차 용어: 조립, 시트]부품을 System 별로 Grouing하여 관리하는 단위 2016. 7. 11.
56.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 56.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장 식이나 꾸밈을 말한다. 자동차에서는 프런트 그릴이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주위에 바디색과 다른 약간 튀어나온 한 장식물을 달아 볼륨을 주어 차체 안정감과 고급스러움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사이드 가니쉬 차체 옆면의 디자인을 강조하는 중요한 의장 부착물이다. 2016. 4. 1.
55.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Mud Guard)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 55.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Mud Guard)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Guard) 기능 및 장착 위치타이어로부터 튀어 오르는 진흙이나 작은 돌 들에 의해 자동차의 하체가 팬다(Fender)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타이어의 뒷면에 판모양으로 달려있다.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Guard) 장착 차량고무나 프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 특히 비포장을 질주해야 하는 오프로드(off road), 랠리차량(rally vehicle)들은 필수이며 더 큰 사이즈와 큰 면적의 팬다(Fender)로 교환하는 경우가 많다. 2016. 3. 31.
53. 자동차 범퍼(Bump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53. 자동차 범퍼(Bump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자동차 범퍼(Bumper)의 기능자동차의 앞 뒤에서 바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서 외부물체와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범퍼(Bumper)의 구조 및 재질 변경예전에는 차체 프레임을 이용한 강철 범퍼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미국에서 안전을 위한 5마일 범퍼등, 크기가 부풀어진 범퍼가 사용되기 시작하며 현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형의 에너지 흡수 범퍼 구조가 일반화되어 있다.내부 재질로는 우레탄 등이 쓰이며 충격 흡수 정도가 뛰어나다. 근래 이런 범퍼는 그 형태가 자동차 바디와 일체형으로 디자인되고 만들어져 장식을 겸한 부품의 개념도 겸하고 있다.자동차 범퍼(Bumper)의 부품 구성범퍼가드, .. 2016. 3. 28.
52. 트렁크 도어/리드(Trunk Door/Lid)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52. 트렁크 도어/리드(Trunk Door/Lid)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문을 말한다. 자동차 뒤에 적재함 문으로서 SUV나 세단에 따라 열고 닫는 방식과 형태가 틀리다. 보통 5 도어나 SUV의 경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문을 테일게이트(Tail Gate)라고도 한다. 2016. 3. 27.
51. 열선유리(Windshield Heat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51. 열선유리(Windshield Heat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열선유리(Windshield Heater) 기능자동차 접합유리의 중간막에 미세한 텅스텐(전기선 혹은 전선)선을 넣은 후 전기를 흐르게 해 유리면을 따뜻하게 해준다. 기상 조건이 나쁠 때 발생하는 물방울이나 서리, 눈에 의한 흐림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열선유리(Windshield Heater) 장착 위치리어 윈도우(Rear Windows)에 적용하지만 추운 지방에서 사용되는 랠리카나 스포츠카에서는 윈드 실드(Wind shield)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사이드 미러(Side Mirror)에도 장착한 모델도 있다. 2016.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