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터리 방전2 17.배터리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시 주의할 사항 [자동차 정비] 17.배터리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시 주의할 사항 [자동차 정비]- 점프 스타트 중에 점프 케이블의 양근(+)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한다. 서로 닿을 경우, 불꽃이 튀어 위험하다.- 배터리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불꽃에 의해 폭발할 수 있는 가스가 발생되므로 배터리로부터 불꽃을 멀리 하자.- 방전된 배터리가 얼었거나 배터리액의 양이 적으면 점프 스타트 시 배터리의 파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다.- 보조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할 때는 방전된 배터리의 음극(-)단자를 직접 연결하지 마시고 배터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견고한 금속에 접지 시키십시오. 직접 연결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배터리에는 부식결이 강한 묽은 황산액이 있으므로 배터리액이 신체나 옷, 차체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고, .. 2014. 9. 19. 16. 배터리 방전 시 점프 케이블의 연결 순서 [자동차 정비] 16. 배터리 방전 시 점프 케이블의 연결 순서 [자동차 정비]배터리가 방전 되는 경우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사용한지 오래 되거나(보통 3년 이상) 혹은 겨울철 엔진이 냉각된 상태에서 배터리가 약한 경우에 시동에 몇번 실패하게 되면 바로 방전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오랫 동안 차량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최소 3개월 이상)에도 자연 방전되는 경우도 있고, 차량 블랙 박스도 차량 주차에 후에도 계속 가동시에는 배터리 소모에 영향을 준다.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타차량의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 수가 있다. 점프 스타트는 잘못하면 대단히 위험하므로 전문가에게 의뢰 하도록 하고, 혹시 혼자서 해야 할 경우 반드시 아래 순서에 따르도록 한다.1. 보조 배터.. 2014. 9.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