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개발53 51. 내가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51. 내가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어떤 물건을 자작했을 시 예상 투입 금액. 2015. 11. 10. 57. 기본 단면 검토 [자동차 용어: 프레스/금형] 57. 기본 단면 검토 [자동차 용어: 프레스/금형] 설계 기본 구조를 토대로 실시하는 성형성, 형구조, 금형 공정수, 제품율 등에 대한 검토이다. 2015. 11. 1.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1. 개요 승용차의 차체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되면 일체 구조, 프레임 장착 구조,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가 있다. 이 중에서 모노코크 바디는 일체 구조로 된 차체이며,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에 유리하게 때문에 대부분의 양산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모노코크이 바디의 개발 추세는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를 위해 TWB와 고장력 강판 등을 적용하고 있다. 2. 모노코크 바디의 구조 박판으로 섀시 부품을 직접 바디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설치부의 강성 확보 등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멤버를 갖추거나 부분 프레임에 섀시 부품을 설치한 후 바디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1) 장점 차실을 낮게 할 수 있어서 차량의 높.. 2015. 10. 29. 2. 스마트 에어백(Smart Airbag system)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개발/자동차 안전] 2. 스마트 에어백(Smart Airbag system)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개발/자동차 안전] 1. 정의 다양한 충돌 조건 및 충돌 발생 시에 탑승객의 인명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고 상황에 맞는 불필요한 에어백(airbag)의 전개를 방지하여 원가를 줄일 수 있다. 1) 승객 분류장치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 및 탑승 유무, 핸들 및 크러시 패드와의 거리, 무게 등을 계산 후 전개 여부 및 전개 팽창 속도를 조절하는 시스템 2) 사고미연 방지 사고 발생 시 위험 신호를 운전자에게 알려 주거나 에어백의 전개 속도 등을 고려하여 승객을 보호한다. 2. 충돌 안전기술 충돌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후에 탑승자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기술 1)에어백 종류: 사이드, 루프, 필라, 후면, 커튼, 무릎, .. 2015. 10. 22. 2.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 시스템의 주요 구성 부품 소개 [자동차 전문용어: 하이브리드 자동차] 2.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 시스템의 주요 구성 부품 소개 [자동차 전문용어: 하이브리드 자동차] 1. 하이브리브용 변속기 동력 배분장치, 발전기, 전기모터 및 감속기로 구성된다.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은 자동차를 구동하는 구동력과 발전기 발전 동력으로 나누어 진다. 발전 전력은 전기모터와 배터리에 공급 된다. 전기 모터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식과 CVT를 장착한 무단 변속기가 있다. 2. 하이브리드 엔진용 엔진 엔진내의 마찰 손실을 줄여 최고의 연비를 실현하고, 또한 청정도를 높여 배출가스를 줄이고, 알루미늄 실린더와 블록으로 무게를 경량화 및 소형화 시켰다. 3. 전기 모터와 발전기 전기모터는 소형이고 가벼운 높은 효율의 교류 동기형을 사용한다. 또한 제동시에는 차량의 .. 2015. 10. 20. 39. 교환(교체)작업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자동차 개발] 39. 교환(교체)작업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자동차 개발] 금형, 치구, 절삭 공기 등을 기계로부터 떼어내거나 셋팅하는데 필요한 작업이다. 2015. 10. 19.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