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기관16

172. 기능저하고장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72. 기능저하고장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설비의 기능이 점점 열화되어 생기는 고장이다. 2015. 10. 31.
20. 디젤링(Dieseling)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디젤 엔진] 20. 디젤링(Dieseling)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디젤 엔진] 1. 속주(Run-on) 현상 엔진의 가동 후 점화를 차단하여도 단시간 동안 계속 엔진 회전하는 것을 속주라 한다. 속주 발생 시 연소실 내의 화합물의 점화는 보편적으로 표면 점화에 의해 이루어지면, 표면 점화는 스파크 점화를 중지한 후에도 일어난다. 2. 디젤링의 발생 현상 1) 원인: 연소실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점화를 차단한 경우에 잔류 가스나 연소실의 퇴적물이 고온 흡기의 압축 착화에 의한 것이 때문에 디젤 엔진에서의 압축착화와 비슷하여 디젤링이라 한다. 2) 예방대책 키 스위치를 끄면 연소를 차단하는 기구를 장착한다.(Fuel Cut Solenoid) 이전 기계식 열형 인젝션 펌프에서 디젤링이 발생하여 계속 운전하면.. 2015. 10. 26.
16. ETC(Electric Throttle Control)전자 쓰로틀 밸브 제어 16. ETC(Electric Throttle Control)전자 쓰로틀 밸브 제어 1. 개념 PCU가 APS와 기타 센서의 신호를 연산한 후 원하는 수 만큼의 펄스 신호를 Throttle Body에 장착되어 있는 스텝모터(step Motor)에 준다. 스텝 모터는 받은 펄스 수량 만큼의 각도로 열러 주거나 닫아서 원하는 RPM을 유지하는 형식이다. 2. 작동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소화 하면서 유저의 불편을 최소화 하는 형식의 통합 제어를 하는 차량에서 사용하는 Throttle Valve Control 방식이다. Idle RPM, TCS Control, Smart Cruise Control 등과 통신한다. 3. 장점 와이어링이 감소되고, 배선 연결 시 커넥터의 등의 감소로 시스템이 간소화 되었으며, 경량화.. 2015. 10. 23.
169. 공정 Try-out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69. 공정 Try-out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설비가 입고 이 후에 미리 작성된 Lay-Out대로 설치하고 필요한 Utility를 공급하여 시운전을 해가며 품질, 사양, Cycle Time 등을 확인 후 각 개별 장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 2015. 10. 16.
7. 배기가스 절감 장치: DPF(매연 여과 장치) 7. 배기가스 절감 장치: DPF(매연 여과 장치) 1. 기능 DPF는 PM을 포집하여, PM이 적정량 축적이 되면, 미연 배기가스 또는 첨가제를 이용하여 촉매를 고온으로 활성화 시켜 PM을 재연소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후 DPF는 다시 PM을 포집한느 구조로서 DPF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며, DPF는 PM 7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DPF는 매연 저감 성능면에서는 아주 우수하나 고가이고 내구성이 부족하고, 필터에 PM이 포집됨에 따라 엔진에 배압이 걸리고 이로서 출력과 연료 소비율이 다소 희생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DPF 기술은 크게 PM 포집(Trapping)기술과 재생(Regeneration) 기술이 중요하다. 2. 종류 1) 1세대 DPF 기술(강제재생방식) 필.. 2015. 10. 14.
160. 고장형태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60. 고장형태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고장 상태의 형식에 의한 분류, 단선, 단락, 절손, 마소 등이다. 2015.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