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부품6

21. 캐니스터(Canister)의 기능 [자동차 부품] 21. 캐니스터(Canister)의 기능 [자동차 부품] 1. 배경 내연 기관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가스는 보통 3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첫째는 자동차 엔진의 연소 후 배기가스로 60% 정도를 차지한다. 둘째는 자동차 엔진 크랭크 케이스에서 나오는 연소배기 가스로 25% 정도이다. 셋째는 자동차 연료탱크 공급 시스템에서 발행하는 증발가스(HC)로 약 15% 정도이다. 2. 기존 자동차 연료 탱크(Fuel Tank)의 문제점 연료 탱크내의 가솔린의 온도가 상승 시에는 탄화수소(HC)가 발생하여 연료탱크이 공간을 다 채우고 나면 연료 탱크 밖으로 새어 나가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고, 연료 소모도 많아지게 된다. 3. 캐니스터(Canister)의 기능 연료탱크에서 생성되는 가솔린 가스(탄화수소, HC).. 2018. 1. 11.
53. 자동차 범퍼(Bump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53. 자동차 범퍼(Bump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자동차 범퍼(Bumper)의 기능자동차의 앞 뒤에서 바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서 외부물체와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범퍼(Bumper)의 구조 및 재질 변경예전에는 차체 프레임을 이용한 강철 범퍼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미국에서 안전을 위한 5마일 범퍼등, 크기가 부풀어진 범퍼가 사용되기 시작하며 현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형의 에너지 흡수 범퍼 구조가 일반화되어 있다.내부 재질로는 우레탄 등이 쓰이며 충격 흡수 정도가 뛰어나다. 근래 이런 범퍼는 그 형태가 자동차 바디와 일체형으로 디자인되고 만들어져 장식을 겸한 부품의 개념도 겸하고 있다.자동차 범퍼(Bumper)의 부품 구성범퍼가드, .. 2016. 3. 28.
54. 터보차저 인터쿨러, TCI(Turbo Charger Intercooler) 장착 차량 운행 [자동차 사양, 부품] 54. 터보차저 인터쿨러, TCI(Turbo Charger Intercooler) 장착 차량 운행 [자동차 사양, 부품]터보차저 인터쿨러 엔진은 엔진의 흡입 공기를 터빈으로 압축시켜 강제로 높은 밀도의 흡기를 공급하는 [Turbo Charger(터보 차저)]와 흡입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켜 충진효율(실린더에 공급되는 흡기의 밀도)을 향상시키는 흡기 냉각기인 [인터 쿨러(Intercooler)]를 함께 가진 엔진을 의미하며, 일반 엔진보다 고출력, 고성능을 발휘함은 물론 일반 Turbo 엔진보다도 높은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치이다. 2016. 1. 23.
52. HDC(Hill Descent Control) [자동차 사양, 부품] 52. HDC(Hill Descent Control) [자동차 사양, 부품]급경사의 도로를 저속으로 내려가고자 할 때, 브레이크 페달등을 조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차량을 저속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속력을 감소시켜 주는 장치입니다. ESC 기능 중 하나인 이 장치는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마시고 급경사의 비포장 도로 내리막길 주행 시에만 사용하십시오. H D C 스위치를 누르면 계기판의 녹색HDC 작동 지시등이 점등되면서 HDC 작동 대기 상태가 됩니다. HDC 기능이 작동하면 녹색 HDC 작동 지시등이 점멸합니다. 2016. 1. 22.
21. 자동차 와이퍼의 종류와 특징 21. 자동차 와이퍼의 종류와 특징1. 일반 와이퍼리벳&요크(rivet & yoke)구조로 유리면에 맞도록 고른 압력을 만들어 주어 다양한 곡면의 유리에도 적합한 밀착 성능을 보여준다.단 와이퍼 끝까지 고른 압력을 주어 밀착성이 좋은 반면에 겨울철 부분 결과 공기저항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이다.2. 플랫 와이퍼일체형 커버 및 공기역학적 디자인이 적용되어 고속 주행시 안정적인 닦임성 유지시켜 주며 겨울철 BLADE 결빙 방지 및 주행 중 풍력으로 인한 소음 및 떨림 감소 등의 성능을 보여준다.단, 결빙 현상이 없고 고속 주행 시 와이퍼가 뜨지 않는 반면 와이퍼의 양끝이 들뜨면 물끔림 현성이 있다.3. 하이브리드 와이퍼일반 와퍼의 구조적 장점인 리벳&요크(rivet&y.. 2015. 10. 5.
20. 배터리(Battery)의 역사 20. 배터리(Battery)의 역사BC 250년에 지금의 이라크 지역에서 수메르인들이 가장 오래된 전기 셀을 사용했는데, 주로 치료의 목적으로 전극판 물질을 사용하였다. 그것은 1.1 볼트에 “항아리(jar)” 셀이었다.1790년대말에 이태리의 알레산드로 볼타(Alessandro Volta)가 수직의 기둥에서 아연(zinc)과 동(copper) 판이 교차해서 정렬 된 배터리를 만들었다.각 디스크의 각 쌍에 볼트는 소금 전해액에 젖은 카드보드 디스크를 장착하였다. 이 발명은 1800년에 이루어졌다. “volt”라는 말은 볼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1802년에 영국의 닥터 윌리암 쿳생크(William Cruickshank)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최초의 배터리를 설계하였다. 그는 나무 상자에 금속판을 지지하.. 2014. 9.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