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일반 용어85

56. FR 구동 방식(FRONT ENGINE REAR DRIVE TYPE) [자동차 용어: 일반] 56. FR 구동 방식(FRONT ENGINE REAR DRIVE TYPE) [자동차 용어: 일반]엔진은 앞쪽에 놓고 뒷바퀴를 굴리는 방식. 앞쪽에 있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이 트랜스미션을 거쳐 프로펠러 샤프트로 전달되어 뒷 바퀴를 돌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프로펠러 샤프트 때문에 실내 바닥에 터널모양으로 솟아오른 부분이 생겨 실내공간 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으나, 출발 직후에 차의 하중이 뒤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타트하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엔진실의 공간이나 조종 장치가 굴림장치와 동일위치에 있지 않아도 된다는 구조상의 유리한 점도 있다. 주로 고급차에 이런 동력 전달 방식을 사용하면 옛날에는 현대 스텔라와 대우 로얄 시리즈가 이 방식이고 지금은 고급 차인 현대 제너시스에 이런 구동 방식을 채용하고.. 2014. 11. 19.
55. RR 구동 방식(REAR ENGINE REAR DRIVE TYPE) [자동차 용어:일반] 55. RR 구동 방식(REAR ENGINE REAR DRIVE TYPE) [자동차 용어:일반]FF방식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으로 엔진이 뒷부분에 있고 뒷바퀴를 굴리는 방식.이 방식은 실내 공간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구동력을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트렁크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큰 용량의 트렁크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별로 환경을 받지 못하는 방식이다. 폴크스바겐의 딱정벌레가 대표적인 차종 2014. 11. 19.
54. FF 구동 방식(FRONT ENGINE FRONT DRIVE TYPE) [자동차 용어: 일반] 54. FF 구동 방식(FRONT ENGINE FRONT DRIVE TYPE) [자동차 용어: 일반]엔진이 앞쪽에 위치해 있으며 앞바퀴를 굴려서 달리는 방식. 살내공간이 넓어지고 무게가 가벼워지게 되어 경제성이 높으며 눈길이나 험로 등을 주행할 때 앞바퀴의 착지지점을 빨리 찾을 수 있어 조종성능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엔진과 구동장치가 모두 앞쪽에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해지고 내리막길에서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차가 좌우로 미끄러지기 쉽고 휠 스핀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도 있다.최근에 개발되는 승용차들은 대부분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014. 11. 19.
53. 패스트 백(FAST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 53. 패스트 백(FAST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차체 뒤쪽 루프가 경사진 스타일. 스포티한 스타일 때문에 1930년대의 유선형 유행을 타고 미국,프랑스, 이태리에서 아주 유행하였다. 2014. 11. 19.
52. 해치백(HATCH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 52. 해치백(HATCH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왜곤으로서 다용성을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설계한 승용차 형식. 특히 소형차의 경우 실내공간이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형식으로서 리프트 백(Lift Back), 스윙백(Swing Back), 오픈 백(Open Back)이라고도 하면 일명 ‘2박스 카’라고도 불린다. 현대의 i30가 여기에 해당한다. 2014. 11. 18.
51. 노치백(NOTCH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 51. 노치백(NOTCH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차체 뒤쪽의 유리창이 트렁크 쪽으로 꺽이면서 평평하게 계단형으로 된 것으로서 승용차에서 제일 흔하게 볼 수 있는 스타일. 통상 ‘3박스카’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세단의 형태 2014. 1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