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고차 점검41 단락과 단선의 차이 단락과 단선의 차이 1) 단락 전선이 합선되어 있다는 말이죠. 즉 (단락, 쇼트) 같은 개념이다. 즉 플러스 전선과 마이너스 전선이 바로 접속되어 있는 것과 같다. 이때 전류는 무한대로 흐르게 되어 결국 화재로 이어지게 된다. 2)단선 전선이 중간에 끊어졌다는 의미이다. 즉 (단선, 절연) 같은 말이다. 전선이 끊어지면 그 선에 전류는 흐르지 못하게 된다. ◈ 전기차 자동차에 대하여 관심 있다면 아래 포스팅 참조 바랍니다. 전기차(electric car)의 구성 및 주요 부품 전기차(electric car)의 구성 및 주요 부품 전기차(electric car)의 주요 부품과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전기차의 주요 부품으로는 전기차 2차 배터리, 전기차 구동 모터, 감속기, DC-DC 컨버터, 인버터(I .. 2020. 5. 4. OCV(open-circuit voltage) OCV(open-circuit voltage) 전압이란 것은 "electric potential level"입니다. 즉 전기적인 위치인데 정확한 전압을 재는 것은 아주 힘든 과제이다. 여기서 OCV란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V=IR 이란 식을 보면 R(저항)이 무한대로 증가하면 I(전류)는 0에 가깝게 된다. 즉 전압을 체크할 때 아주 큰 저항을 걸어 전류의 흐름을 최소한으로 하면 최대한 실제값에 근접한 전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소숫점 유효숫자 수에 따라 측정장비 값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왜냐 하면 모든 물체는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비례하여 저항도 증가하게 되고 이것은 전압강하 또는 전압상승을 가져 온다. 다시 말하면 충전 할 때는 전압상승 효과가 발생하여 4.2V .. 2020. 5. 3. 자동차용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의 소개 리튬폴리머 전지는 리튬이온 전지와 작동 원리와 구조와 거의 동일하나 리튬 이온 전지의 전해액을 고분자물질로 대체하여 안정성을 높인 전지이다. 또한 리튬폴리머 전지는 음극으로 리튬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와 카본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카본음극을 사용하는 경우와 구별하여 리튬이온폴리머 전지도 부르나, 통상 리튬폴리머 전지로 통용된다. 리튬폴리머 전지의 특성 리튬폴리머 전지는 전해질이 고체이기 때문에 전해질의 누수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또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전지팩을 제조할 수 있어 기존의 리튬이온 전지에서 원통형 및 각형전지로 전지팩을 제작할 경우 전지와 전지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을 절약 할 수 .. 2020. 4. 21. 니켈 수소 전지(Ni-MH) 니켈 수소 전지(Ni-MH) 나켈-수소 전지는 니켈-금속수소화물 전지(MH는 metal hydride의 약자임)의 약칭으로 기존의 니켈-카드뮴(Ni-Cd) 전지에 카드뮴 음극의 중금속 오염을 개선하여 수소저장합금을 사용하였다. 1990년 이후 전자 기기들의 소형, 경량화에 따라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전지의 요구 조건은 고에너지 밀도화, 소형 경량화, 수명 연장 등 요구되나 기존의 광범위하게 사용 되었던 니켈-카드뮴 전지나 납축전지로서는 이상 새로운 성능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명확하였다. 특히 환경오염 문제로 니켈-카드뮴 전지와 납 전지로서 더 이상 대응 하기가 어려워졌다. 최근의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는 리륨이온 전지 및 리듐폴리머 전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나, 2000년대에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 2020. 4. 12.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lithium ion) 배터리(Battery)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lithium ion) 배터리(Lithium-Ion Battery) 리튬 이온 전지(-電池, Lithium-ion battery, Li-ion battery)는 이차 전지의 일종으로서, 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전지이다. 충전시에는 리튬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자리를 찾게 된다. 리튬 이온 전지는 충전 및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인 리튬 전지와는 다르며, 전해질로서 고체 폴리머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와도 다르다. 리튬이온(lithium ion) 배터리는 2020년 현재 자동차용 배터리 및 기타 전자기기에 가장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고 배터리이다. 그럼 리튬이온(lithium ion) 배터리의 어떤 특징이 어떤 특징이 자동.. 2020. 4. 6. 리튬인산철(LiFePO4) 전지 리튬인산철(LiFePO4) 전지 리튬인산철 전지는 양극제로 리튬-인산철을 사용하여 폭발 위험이 없는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전해질은 이온(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충전 효율도 최대화 하였다. 리튬 인산철 배터리의 화학구조는 올리빈 구조로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가진다. 그렇기에 리튬의 경로 이동이 쉽고 열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이어서 외부 불순물과 합성되어 다른 변형된 형태로 쉽게 왜곡 되지 않으며 2차 가공에 용이하다. 직류 측 입력 변동이 작아서 PCS 설계가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EES 절연전압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특성이 매우 좋아 자체 발열이 거의 없어서 주위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리튬인산철 이차전지는 탁월한 안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가 방전율과 에너지 손실률이 매우 낮아 효율이 .. 2020. 3. 23.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