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71

34. 자동차 OBD장치,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기능과 시스템 구성 34. 자동차 OBD장치,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기능과 시스템 구성OBDⅡ (On-Board DiagnosticsⅡ) 기능OBD(On-Board Diagnostics)장치는 배출 가스에 관련 있는 각종 자동차 부품이나 시스템에 대하여 자가 고장 진단 시스템이다. OBD를 장착하면 배출 가스 장치의 구성품의 고장 및 비정상 작동으로 배기가스가 규제치 이상으로 발생하면 사전에 경고함으로써 대기 오염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사전 경고는 자동차 계기판 램프를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알려 준다. 분기별로 동일 결함율이 4% 이상일 경우에는 자동차 메이커에서 리콜(Recall)을 실시하며 문제점을 조치해야 한다.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의 구성OBDⅡ(On-Bo.. 2015. 12. 1.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승차인원과 적재하중을 맞추어 앞뒤 바퀴에 적절한 제동력을 자동을 분배한다.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적용 시 안정된 브레이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자식 제동력 분배 시스템이다.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장착 시스템이전의 고정식 비례 유압 밸브(Proportioning Valve) 대신 ABS와 EBD를 함께.. 2015. 11. 30.
33. 자동차 유해 배기 가스인 탄화수소(HC)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33. 자동차 유해 배기 가스인 탄화수소(HC)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탄화수소(HC)가 인체와 자연에 미치는 영향자동차 3대 유해 배기 가스인 탄화수소(HC)가 유해 물질이 되는 것은 질소산화물과 더불어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스모그(Smog) 현상을 일으킨다. 사람의 인체에는 수백 ppm 정도가 되어야 영향(시계를 악화시키고, 점막을 자극하고, 미각의 기능을 저하)을 미치지만 식물계에는 많은 피해를 준다. 공연비와 탄화수소(HC)의 발생 영역탄화수소(HC)는 아주 농후한 공연비이거나 희박한 공연비에서 배출량이 증가한다. 농후한 연료로 인한 불완전 연소시, 화염전파 후 연소실내의 냉각작용으로 연소 후 잔류 가스로 발생하고, 희박한 공연비에서는 점화 실화로 인하여 발생한다. 그리고 탄화수소(HC).. 2015. 11. 30.
32. 자동차 유해 배기 가스인 질소산화물(NOx)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32. 자동차 유해 배기 가스인 질소산화물(NOx)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자동차 유해 배가 가스 중의 하나인 질소산화물(NOx)는 눈에는 자극이 없으나 기관지염, 폐기종, 폐염,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NOx) 중에서 가장 해로운 것이 이산화질소인데 이는 NO의 5배 이상으로 인체의 호흡기에 나쁜 영향을 주며 또한 광화학 반응도 일으킨다. 광화학 스모그(Smog)는 이산화질소가 태양 에너지에 의하여 활성의 NO와 O로 분해하여 산소(O2)를 산화하여 오존(O3)으로 되기도 하고 탄화수소와 조합하여 알데히드, PAN, NO3, 오존 등의 옥시던트를 포함한 스모그(Smog)을 발생시킨다. 스모그는 사람 인체의 목을 자극하며 식물에도 피해를 준다. 공연비와 질소산화물(NOx)의 발생 영역 자동.. 2015. 11. 29.
31. 자동차 유해 배출 가스인 일산화탄소(CO)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31. 자동차 유해 배출 가스인 일산화탄소(CO)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일산화탄소(CO)는 가장 유해한 자동차 배출 가스이다. 일산화탄소는 호흡에 의해 몸 속으로 들어가면 혈액 속의 해모글로빈과 결합하여(산소의 결합력보다 일산화탄소의 결합력이 세므로) 산소의 운반 작용을 저해하므로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결합이 20%가 되면 두통, 현기증 등의 가스 중독 현상을 일으키고 이 수치가 60% 정도가 되면 사망이 이를 수도 있는 자동차 배출 가스이다 공연비와 일산화탄소(CO)의 발생 영역 일산화탄소(CO)는 이론공연비에 가까울수록 발생량이 감소하고 농후 할 때 발행하는 특성이 있다. 국부적으로 공기 과잉율이 1보다 크거나, 배기행정 중 불완전 연소 시 생성되는 특성으로 공기 과잉율이 1보다 같거나 클 때도 조금.. 2015. 11. 29.
12. 용도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종류 12. 용도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종류일반적으로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용도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그럼 자동차 브레이크 용도와 종류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자.1. 주 브레이크(Brake)주 브레이크(Brake)는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속시키거나 정시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작동 시키므로 풋브레이크(foot brake)이고 한다. 주 브레이크의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 유압식, 진공 배력식, 공기 배력식, 공기 브레이크가 있다.사진1. 주차 브레이크 및 유압 브레이크(주 브레이크) 2.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는 자동차를 정지한 상태로 유지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손으로 작동시키므로 핸.. 2015. 1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