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섀시 용어191

23. 언더 스티어(Under Steer) [자동차 용어: 섀시] 23. 언더 스티어(Under Steer) [자동차 용어: 섀시]앞 차륜 조향각에 비하여 실제의 조향 반경이 커지는 현상이다.이 현상은 뒷 차륜에서 발생되는 선회 구심력(Cornering Force)이 클 경우에 발생한다.오버스티어링과 언더스티어링은 서로 장단점이 있으므로 어느 쪽이 좋다고 하기는 어려우나 보통 자동차에서는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간 언더스티어링을 한다. 2014. 10. 9.
22. 랙피니언 형식(Rack & Pinion Type) [자동차 용어:섀시] 22. 랙피니언 형식(Rack & Pinion Type) [자동차 용어:섀시]조향축 끝부분에 있는 피니언(Pinion)이 랙(Rack)과 맞물려 있어 피니언의 회전 운동을 랙의 좌우 직선 운동으로 바꾸어 타이로드(Tie Rod)를 통해 바퀴를 움직이는 형식.조향 감각이 우수하고 가벼우나 바퀴가 노면에서 받는 충격이 핸들에 전달되기 쉽다.주로 위시본(Wishbone)식이나 맥퍼슨(McPherson)식의 서스펜션 장착차에 주로 사용된다. 2014. 10. 9.
21. 보올 너트형식(Ball & Nut Type) [자동차 용어: 섀시] 21. 보올 너트형식(Ball & Nut Type) [자동차 용어: 섀시]나사와 너트 사이에 여러 개의 보올을 넣어 워엄의 회전을 보올의 구름 접촉으로 너트에 전달시키는 형식이다.스티어링 휠의 조작이 가볍고 큰 하중에 견디는 내구성이 크며 또한 마모가 적어 승용차와 대부분의 상용차에 사용되고 있다. 2014. 10. 9.
20. 조향기어(Steering Gear) [자동차 용어: 섀시] 20. 조향기어(Steering Gear) [자동차 용어: 섀시]스티어링 휠의 회전을 감속함과 동시에 운동 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장치이다.보올너트식(Ball Nut Type)과 랙피니언식(Rack Pinion Type)이 있다. 2014. 10. 9.
19. 충격 흡수식 조향축(Collapsible Steering Column) [자동차 용어:섀시] 19. 충격 흡수식 조향축(Collapsible Steering Column) [자동차 용어:섀시]차량 충돌시, 충격에 의해 차체가 파손되면서 조향장치가 운전자 쪽으로 밀려나와 운전자가 당하는 1창 충돌과 운전자가 그 관성에 의해 다시 조향장치에 부딪치게 되는 2차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이다.조향축관이 변형되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보올식(Ball Type)과 조향축의 변형으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메쉬식(Mesh Type) 또는 벨로우즈식(Bellows Type)이 있다. 2014. 10. 9.
18. 에어 백(Air Bag) [자동차 용어: 섀시] 18. 에어 백(Air Bag) [자동차 용어: 섀시]충돌 사고시 운전자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향 핸들이나 대쉬보드(Dash Board)에 장착 해놓은 안전장치.차량의 앞부분이 충돌하는 순간 급격히 공기 주머니가 팽창하여 머리와 가슴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2014.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