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1656

6. 유압식 브레이크(Hydraulic brake) [자동차 용어:섀시] 6. 유압식 브레이크(Hydraulic brake) [자동차 용어:섀시]1) 원리유압식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힘을 유압에 전달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2) 장점이 방식은 제동력이 모든 바퀴에 균일하게 전달되고, 마찰 손실이 적으며, 조작력이 작아도 된다.3) 단점오일 파이프 등이 파손되어 오일이 누출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기능이 상실되는 단점도 있다.4) 동작 원리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와 그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제동력을 발생케 하는 휠실린더 및 유로(油路)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 또는 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승용차에 방열성과 제동력이 우수한 디스크 브레이크 방.. 2014. 8. 11.
5. 레이디얼 타이어(Radial tire) [자동차 용어:섀시] 5. 레이디얼 타이어 [자동차 용어:섀시]이 타이어는 타이어의 카커스 코드 방향이 중심선과 90도의 각을 이루고, 그 위에 브레이커를 원주 방향으로 넣어 만든 것이다. 원주 방향의 압력은 브레이커가 받고, 반지름 방향의 공기 압력은 카커스가 받도록 되어 있다.장점1) 하중에 의한 트레트 변형이 작아서 접지 면적이 크다2) 선회할 시 옆 방향의 힘을 받아도 변형이 적ek 3) 편평률을 크게 할 수 있다.4) 전동저항이 적고 내미끄럼성과 주행안전성이 향상된다. 5)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적다. 단점튼튼한 브레이커로 인해 충격 흡수 잘 되지 않고, 승차감이 좋지 않다.*관련 글2014/07/30 - [자동차 부품] - 1. 타이어의 역사(The history of Tire)2012/04/16 - [자동차 사양.. 2014. 8. 11.
4. 자동차 스타일 (PLAIN BACK, NOTCH BACK, HATCH BACK, FAST BACK)[자동차 용어:일반] 4. 자동차 스타일 (PLAIN BACK, NOTCH BACK, HATCH BACK, FAST BACK)[자동차 용어:일반]1. 플레인 백(PLAIN BACK)프로토 타입(Proto Type) 스포츠카나 미드쉽 엔진의 슈퍼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일. 본래의 패스트 백에 비해 고속으로 달릴 때 차체의 뒤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 바람이 차를 뒤로 당기는 힘이 적어지고 뒷부분의 옆면적이 크기 때문에 옆바람의 작용점이 중심보다 뒤쪽으로 이동, 힘이 상쇄됨으로써 옆바람의 영향이 작아진다. 달릴 때의 안전성도 좋으며 패스트 백에 비해 실내 뒷부분의 공간을 크게 해주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패스트 백 모델이 프레인 백의 영향을 받아 거의 양자를 구별하기 힘들다.2. 노치백(NOTCH BACK)차체 뒤쪽의.. 2014. 8. 10.
4. Flat Spot 현상 [자동차 용어:섀시] 4. Flat Spot 현상 [자동차 용어:섀시] 플랫 스폿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두 가지 있다1) 급제동시 : ABS가 없는 차량에서 급하게 제동을 하면, 휠이 록업(lock up)된 상태로 타이어가 아스팔트 위로 미끄러지면 타이어 트래트가 편평하게 마모되는 부위 즉 flat spot이 생긴다.2) 장시간 주차 시 : 주차 중 타이어를 장기간 방치해두면 이후 사용할 때 타이어에 약간의 변형이 남는다. 이와 같은 타이어 변형을 플랫 스폿이라고 한다. 플랫 스폿이 발생한 타이어로 주행하면 보디나 스티어링 휠에 불쾌한 진동을 줄 때가 있지만, 보통은 5~15분 정도 주행하면 이 현상은 없어질 때가 많다. 이것은 타이어에 사용되고 있는 코드의 변형 특성에 의한 것으로서, 특히 나일론 코드를 사용하고 있는 밴.. 2014. 8. 10.
3.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 [자동차 용어:섀시] 3.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 [자동차 용어:섀시]엔진을 자동차 제동에 이용하는 운전법.주행 중 엑셀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떼어 구동바퀴에 의해 엔진을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엔진의 흡인, 각부의 미끄럼 운동이나 회전 마찰 등의 저항을 이용하여 제동을 하는 방법이다. 차량을 정지시키려고 할 때나 비탈길을 내려갈 때는 이 방법을 보통의 브레이크와 병용하며, 급경사에서는 구배에 따라서 변속기를 저속에 넣어 더 한층 큰 엔진 브레이크를 건다.브레이크는 아니지만 엔진의 압출 압력을 이용하여 바퀴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동력을 얻는 것 즉 엔진에 브레이크 작용을 하기 하는 것을 의미함.* 참조글2014/08/31 - [자동차 운전/관리] - 7.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대처법2014.. 2014. 8. 8.
3. 자동차 형태 (ONE BOX,TWO BOX,THREE BOX, 1.5 BOX)[자동차 용어:일반] 3. 자동차 형태 (ONE BOX,TWO BOX,THREE BOX, 1.5 BOX) [자동차 용어:일반] 1. 1박스(ONE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차체 전체가 하나의 상자로 보이는 형식. 1박스 웨곤(Wagon)을 생략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그레이스, 베스타 등이 있다. 2 .2박스(TWO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엔진실과 차체실내가 2개의 상자로 덮혀 있는 것과 같은 형식. 지프와 해치백식의 승용차가 이 형식에 해당되면 트렁크 부분은 실내에 있다. 3. 3박스(THREE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차량을 옆에서 보았을 때 엔진실, 차체실내, 트렁크의 3개 상자로 이루어져 있는 형식이며 3 보디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세단의 형태이고, 이 형식은 1.. 2012.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