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자동차 엔진/기관/PT59 47. 자동차 Limp Home(Fail Safe) 기능 자동차 Limp Home(Fail Safe) 기능Limp Home의 뜻은 “다리를 절면서 집으로 간다”는 말로, 차량의 센서 등의 일부가 고장 발생 시 ECU가 액츄에이터를 기본적인 값으로 다시 Re-set 하여 차량의 초기 공장 입고 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동일한 용어는 Fail Safe 기능이라고도 한다. 2015. 12. 17. 46. DBL(Diurnal Heat Breathing Loss, 주간 가열 시험) DBL(Diurnal Heat Breathing Loss, 주간 가열 시험)연료 탱크 내에 연료를 임의로 가열시켜 증발되는 증발 가스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2015. 12. 16. 45. HSL(Hot Soak Loss, 고온 소크 시험) HSL(Hot Soak Loss, 고온 소크 시험)차량이 주행 완료 후 차량 연료 탱크 내 연료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 자연적으로 증발되는 증발가스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2015. 12. 16. 44.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목적1990년 EPA에서 개정된 규정으로, 주유소에서 연료 주입 시 탱크 내의 증발되는 HC Vapor 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캐니스터로 이동 시켜서 HC 가스의 대기 방출을 방지하고, HC 가스 누출을 알려주는 경보 시스템이다.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규제치누출 규제치는 0.2 g/gal (0.053 g/l)이다.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기능 정의1) 증발 가스를 채집해서 .. 2015. 12. 16. 43 자동차의 Run-on 현상? 자동차의 Run-on 현상?Run-on이란 점화 스위치의 키를 뽐은 상태에서도 기관이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연소실에 미연의 연료가 남았든지, 연소실로 연료가 계속 공급되어 스파크를 일으킬 수 있는 열점이 있기 때문이다. Run-on 시간은 짧으면 좋으며, 이것을 구조적을 방지하지 못하면 자동차가 key off 시에도 주행이 가능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2015. 12. 14. 42. 람다(λ) 윈도우(Window) 람다(λ) 윈도우(Window)람다(λ) Window 정의3원 촉매를 사용하여 배출 가스의 3가지 주요 유해 가스인 CO, HC, NOx를 동시에 높은 정화율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운전 조건 하에서도 공연비를 이론 공연비 부근의 좁은 영역으로 제어해야 하는데 이 좁은 구간을 윈도우(Window)라고 합니다. 람다(λ) Window 제어이 이론 공연비 부근의 윈도우(Window)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배출 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람다센서(λ Window)나 산소센서(O2)로 검출하고, 엔진의 배기 부문에서는 산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즉 엔진의 흡기부에서 이론 공연비가 되도록 피드백 보정 제어해야 합니다. 2015. 12. 8.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