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37. 밸브 바디(Valve Body)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 밸브 바디(Valve Body)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 밸브 바디(Valve Body)의 기능엔진의 회전으로 직접 구동되는 오일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용도에 따라 최적의 유압으로 조정 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 바디(Valve Body) 종류밸브 바디(Valve Body)에 장착된 밸브는 유압회로를 바꾸는 변환 밸브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 밸브로 나누어진다. 2015. 12. 3. 9.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교토 의정서 주요 내용 및 한계 9. 지구 온난화 및 온실 가스 문제 해결을 위한 교토 의정서 주요 내용 및 한계 교토 의정서의 배경교통 의정서의 주요 내용은 기후 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관한 의정서이다. 여러분도 잘 아시겠지만 자동차 수송 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은 온실 가스 배출의 20% 이상을 초과함으로 자동차 내연 기관의 온실 가스 배출과 교통 의정서는 아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주요 내용은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인 기후 변화 협약의 구체적 이행 계획으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하였다. 즉 주요 협약의 대상국은 선진국의 온실 가스 감축을 목표했다는 점이다.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되었다. 그러나 협상 과정에서 온실 가스 협약에.. 2015. 12. 3. 36. 디젤 엔진 노킹(Diesel Engine Knocking) 발생과 예방법 디젤 엔진 노킹(Diesel Engine Knocking) 발생과 예방법 디젤 엔진 노킹(Diesel Engine Knocking)란?연료의 세탄가 특성과 발화 지연의 기간이 길면 액적은 증발할 수 있는 여유 시간이 길어지고 공기와의 혼합시간도 길어져 공연비 조성은 유리한 상황이 되므로 이때 자연 발화하면 압력 상승률이 높아져서 불규칙한 노크음(knocking Sound)이 발생한다. 디젤 엔진 노킹(Diesel Engine knocking) 발생 원인과 결과이로 인해 엔진 구조물에 과도한 응력과 심한 진동을 발생시킬 정도의 압력이 상승되며, 이때 디젤 엔진(Diesel engine)의 노크(knock)가 발생한다. 디젤 엔진의 노크는 착화지연이 길고, 착화 지연 중에 분사된 연료의 양이 많을 때 발생한.. 2015. 12. 3. 35.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시스템 모니터링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시스템 모니터링OBDⅡ(On-Board Diagnostics) 장치는 배출 가스 규제치의 1.5배를 초과하는 시스템 부품의 오작동과 노화, 열화를 검출한다. OBDⅡ는 다음과 같은 배출 가스 관련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촉매성능 감지(Catalyst Monitoring)OBDⅡ(On-Board Diagnostics)는 배기 다기관에서 촉매의 전후에 산소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출력 전압의 폭을 비교하여 촉매의 정화효율이 규제치의 1.5배를 넘으면 경고등을 점등한다. 산소센서 감지(O2 Sensor Monitoring)OBDⅡ(On-Board Diagnostics)는 배기 다기간의 촉매 전후에 설치한 두 개의 산소 센서의 기능 이상 여부는 출력된 전압의.. 2015. 12. 2. 34. 자동차 OBD장치,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기능과 시스템 구성 34. 자동차 OBD장치,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기능과 시스템 구성OBDⅡ (On-Board DiagnosticsⅡ) 기능OBD(On-Board Diagnostics)장치는 배출 가스에 관련 있는 각종 자동차 부품이나 시스템에 대하여 자가 고장 진단 시스템이다. OBD를 장착하면 배출 가스 장치의 구성품의 고장 및 비정상 작동으로 배기가스가 규제치 이상으로 발생하면 사전에 경고함으로써 대기 오염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사전 경고는 자동차 계기판 램프를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알려 준다. 분기별로 동일 결함율이 4% 이상일 경우에는 자동차 메이커에서 리콜(Recall)을 실시하며 문제점을 조치해야 한다.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의 구성OBDⅡ(On-Bo.. 2015. 12. 1.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승차인원과 적재하중을 맞추어 앞뒤 바퀴에 적절한 제동력을 자동을 분배한다.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적용 시 안정된 브레이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자식 제동력 분배 시스템이다.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장착 시스템이전의 고정식 비례 유압 밸브(Proportioning Valve) 대신 ABS와 EBD를 함께.. 2015. 11. 3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