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하이브리드 자동차(Mechanism)의 분류 하이브리드 자동차(Mechanism)의 분류 1) 직렬형 하이브리드(Series Hybrid System) ① 정의 직렬형은 엔진-발전기-모터가 직렬로 연결되고, 엔진의 동력은 모든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최종적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엔진을 최적의 상태로 작동시키면서 주행이 가능하고, 주행거리가 비교적 길다. ② 장단점 - 장점 유독성 가스(CO, HC, NOx)의 배출이 최소화 되면, 별도의 변속 장치가 필요 없다 또한 연비는 가솔린 자동차 대비 2배 정도 좋아진다. 제어가 용이하다. - 단점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므로 대용량의 모터와 배터리가 필요하며, 따라서 중량과 부피가 증가하고, 원가와 패키지 레이아웃에 불리하다. 또한 교류로 발전하면서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 2020. 10. 6.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ild Hybrid)– architectures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ild Hybrid :MHEV)– architectures 이 기사에서는 MHEV(Middle Hybrid Electric Vehicles)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살펴보고, 연비와 주행성 측면에서 가능한 제어 기능 및 장단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다양한 유형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만드는 방법을 기억하려면 다음 기사를 읽어 보십시오. 〇 마이크로, 마일드, 풀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이해 〇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HEV) – 소개 구조, 위상 또는 구성에 의해 차량에 하이브리드 전기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의 위치를 파악한다. 전기 시스템과 차량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유일한 기계적 연결은 전기 기계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 2020. 10. 5.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Mild Hybrid Electric Vehicle,MHEV) – 소개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Mild Hybrid Electric Vehicle,MHEV) – 소개 이 기사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MHEV)에 대해 논의 할 일련의 기사 / 튜토리얼 중 첫 번째 부분입니다. 이 시리즈는 6 개의 파트로 구성 될 예정이며, 각 파트는 MHEV의 몇 가지 주요 측면에 중점을 둡니다. MHEV – 소개 MHEV – 토폴로지 (아키텍처) MHEV – 주요 구성 요소 MHEV – 전기 아키텍처 MHEV – 제어 기능 MHEV – 예 이 첫 번째 부분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주요 트렌드, 왜 우리에게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필요한지, 그리고 MHEV가 큰 그림에서 자신을 포지셔닝 하는 위치에 대해 논의 할 것입니다. 자동차 메가 트렌드 자동차 산업은 .. 2020. 10. 3. 연료 전지(수소차)의 종류 연료 전지의 종류 연료전지는 온도에 따라, 연료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각각 구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온이 전해질을 통과하고 교환으로 전극 사이에 전기가 흐른다는 근본 원리는 모두 같다. 1] 작동 온도에 따른 구분 연료전지는 고온형과 저온형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은 다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저온 저온형은 일상 생활 현장에서 활용된다. 저온형은 고온형 연료전지에 비해 훨씬 저온(섭씨 200도 이하)에서 작동된다. 저온형의 공통 장점은 사동이 단시간에 된다는 것과 크기를 적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고가의 백금 전극이 필요해서 장비 비용이 높은 것이 단점이다. 인산형 연료전지(PAFC)는 섭씨 200도 정도에서 작동한다. 전해질에는 인산 수용액을 쓴다... 2020. 9. 29. 연료 전지의 개요 연료전지 개요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아직은 수소 저장 및 운반 기술이 미흡하고, 충전소도 많지 않아서 상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 전기자동차는 화학적 배터리 대신 작은 발전소에 비유할 수 있는 연료전지를 장착하고 다닌다. 원래 연료 전지는 우주선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수소와 산소는 로켓의 연료와 산화제로, 연료 전지에서 생기는 물은 승무원의 음료수로 고안된 것이다. 환경친화적 특성을 가지면서 소용량에서도 발전효율이 높고 배열의 유효이용에 의해 종합 에너지 효율의 향상이 기대되는 연료전지는 새로운 에너지원이나 결국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마지막에는 에너지 제로 하우스의 적용은 고려 대상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 2020. 9. 25. 납 축전지 용어 정리(lead–acid battery) 2020/05/26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LIC(리튬이온 캐패시터) 전지 2020/05/25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Ni-Zn(니켈아연 전지) 2020/05/12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카드 전지) 2020/05/06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이차 전지의 개념 및 종류 2020/04/06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lithium ion) 배터리(Battery) 2020/04/12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니켈 수소 전지(Ni-MH) 2020/04/21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자동차용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2020/03/23 - [자동차 학습/.. 2020. 6. 12. 이전 1 2 3 4 5 6 7 8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