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1471

4. OHV/오버헤드 밸드(OVERHEAD VALVE)식, (자동차 용어:엔진) 4. OHV/오버헤드 밸드(OVERHEAD VALVE)식, (자동차 용어:엔진)밸브가 실린더헤드에 설치되어 캠이 푸쉬로드와 로커암을 통해 개폐하는 방식.캠샤프트가 밸브 리프터를 통해 푸쉬로드를 밀어주면 푸쉬로는 밸브로커암의 한쪽 끝을 밀게 됨과 동시에 다른 쪽 끝이 밸브스프링의 힘을 이기고 밸브스템의 끝을 눌러 밸브가 열린다.이때 캠이 계속해서 회전하면 밸브 스프링의 힘으로 밸브가 닫히게 되는데, 고압축비를 낼 수 있고 노킹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관련 글2014/09/03 - [자동차 용어] - 19. SV/사이드 밸브(SIDE VALVE)식 (자동차 용어:엔진)2014/09/02 - [자동차 용어] - 18. DOHC(DOUBLE OVERHEAD CAMSHAFT)식, (자동차 용어.. 2014. 9. 1.
3. 공연비(AIR FUEL RATIO), (자동차 용어:엔진) 3. 공연비(AIR FUEL RATIO), (자동차 용어:엔진)혼합기내의 공기와 연료의 비율. 보통 무게비로 나타내며, 연료를 완전 연소하는데 필요한 최 소공기량과 연료와의 비를 이론 공연비라 한다. 보통 가솔린 연료의 이론 공연비는 14.5~25.0이며 공연비의 수치가 커진다는 것은 보다 희박한 혼합기를 뜻하고 반대로 공연비의 수치가 적어진다는 것은 보다 농후한 혼합기가 딤을 뜻한다. 2014/08/23 - [자동차 운전/관리] - 3. 차량 연비 30% 이상 절감 운전법 14가지2014/08/22 - [자동차 사양시스템] - 9. 액티브 에코 운전 모드(Active ECO) 2014. 8. 31.
2. 노킹(Knocking) (자동차 용어 : 엔진) 2. 노킹(Knocking) (자동차 용어 : 엔진)가솔린 엔진의 이상 연소 및 이에 동반하여 엔진의 실린더 벽을 작은 해머로 빠른 속도로 두드리는 듯한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가솔린 엔진의 폭발행정은 스파크 플러그로부터 점화되어 화염핵이 발생한다. 이 화염핵으로부터 화염이 주위로 퍼져나가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지 않고 플러그로부터 떨어진 부분이 열과 압력에 의해 자연 발화하여 연소실 전체의 가스가 순간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을 노킹이라고 한다. 심한 경우에는 고온, 고압에 의해 밸브의 손상이나 피스톤 고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관련 글2012/04/19 - [자동차 정비] - 1. 기관 1)크랭크축 엔드프레이(End Play) 과다 시 나타나는 증상2012/04/20 - [자동차 정비] - .. 2014. 8. 30.
6. 유압식 브레이크(Hydraulic brake) [자동차 용어:섀시] 6. 유압식 브레이크(Hydraulic brake) [자동차 용어:섀시]1) 원리유압식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힘을 유압에 전달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2) 장점이 방식은 제동력이 모든 바퀴에 균일하게 전달되고, 마찰 손실이 적으며, 조작력이 작아도 된다.3) 단점오일 파이프 등이 파손되어 오일이 누출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기능이 상실되는 단점도 있다.4) 동작 원리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와 그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제동력을 발생케 하는 휠실린더 및 유로(油路)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 또는 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승용차에 방열성과 제동력이 우수한 디스크 브레이크 방.. 2014. 8. 11.
4. Flat Spot 현상 [자동차 용어:섀시] 4. Flat Spot 현상 [자동차 용어:섀시] 플랫 스폿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두 가지 있다1) 급제동시 : ABS가 없는 차량에서 급하게 제동을 하면, 휠이 록업(lock up)된 상태로 타이어가 아스팔트 위로 미끄러지면 타이어 트래트가 편평하게 마모되는 부위 즉 flat spot이 생긴다.2) 장시간 주차 시 : 주차 중 타이어를 장기간 방치해두면 이후 사용할 때 타이어에 약간의 변형이 남는다. 이와 같은 타이어 변형을 플랫 스폿이라고 한다. 플랫 스폿이 발생한 타이어로 주행하면 보디나 스티어링 휠에 불쾌한 진동을 줄 때가 있지만, 보통은 5~15분 정도 주행하면 이 현상은 없어질 때가 많다. 이것은 타이어에 사용되고 있는 코드의 변형 특성에 의한 것으로서, 특히 나일론 코드를 사용하고 있는 밴.. 2014. 8. 10.
3.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 [자동차 용어:섀시] 3.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 [자동차 용어:섀시]엔진을 자동차 제동에 이용하는 운전법.주행 중 엑셀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떼어 구동바퀴에 의해 엔진을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엔진의 흡인, 각부의 미끄럼 운동이나 회전 마찰 등의 저항을 이용하여 제동을 하는 방법이다. 차량을 정지시키려고 할 때나 비탈길을 내려갈 때는 이 방법을 보통의 브레이크와 병용하며, 급경사에서는 구배에 따라서 변속기를 저속에 넣어 더 한층 큰 엔진 브레이크를 건다.브레이크는 아니지만 엔진의 압출 압력을 이용하여 바퀴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동력을 얻는 것 즉 엔진에 브레이크 작용을 하기 하는 것을 의미함.* 참조글2014/08/31 - [자동차 운전/관리] - 7.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대처법2014.. 2014. 8.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