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94 1. 잘못 알고 있는 자동차 및 오토바이 영어 용어 1. 잘못 알고 있는 자동차 및 오토바이 영어 용어오토바이(autobike) ⇒ motorcycle / motorbike: 오토바이가 아니고 모터싸이클이나 모터바이크라고 불러야 합니다. 파워핸들(power handle) ⇒ power steering.파워핸들이란 표현은 영어에는 없습니다. 당연히 자동차 핸들은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입니다. 핸들(handle) ⇒ wheel / steering wheel/ steering / steering gear우리가 아는 자동차 핸들은 휠(wheel)이나 스티어링(Steering wheel)으로 불려야만 합니다. 펑크 (punk) ⇒ flat tire자동차 펑크 났다는 일본식 표현일 가능성 있습니다. 플랫 타이어(flat tire)가 맞습니다. 백.. 2016. 1. 14. 14. 현대 자동차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소개 현대 자동차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소개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의 목적은 무엇인가요?타이어의 공기압 경보장치는 타이어 공기압이 정비 규정값이 이하 일 때 계기판에서 자동으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경고등을 점등 시켜 줍니다. 그러면 운전자는 정비소나 주유소에 가서 문제가 되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확인 후에 공기압을 규정값으로 다시 설정해 줘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Tire Pressure)은 왜 중요할까?타이어 공기압은 단순히 자동차의 승차감 뿐 만 아니라 타이어의 수명, 타이어의 편마모, 제동력, 자동차 연료 소모에도 .. 2015. 12. 9. 40. 자동차 내연기관에 입력되는 센서(Sensor)와 전자 제어 시스템(ECU, Electric Control Unit) 자동차 내연기관에 입력되는 센서(Sensor)와 전자 제어 시스템(ECU, Electric Control Unit) 제어 계통(Control Sytem)은 기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그 신호에 따라 분사량, 분사시기, 공연비 등을 계산하는 전자 제어 유닛(Electric Control 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주요 부분은 연료 분사량 제어, 분사 시기 제어, 공연비 제어 등이 있다.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자제어 장치의 흐름은 다음 그림과 같다. 각종 센서(Sensor)류가 입력부로서 각종 자동차 내외의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차 ECU(Electric Control Unit)에 입력되면 ECU는 최적의 분사 시가, 연료 분사량, 연료 분사 시기, 공연비 등의 제어를 위하여 각종 액츄에이터(Ac.. 2015. 12. 7. 39. 가솔린 엔진 당량비(Ø)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 가솔린 엔진 당량비(Ø)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가솔린 엔진에서 당량비(Ø)의 정의공기 과잉률의 역수로서 이론 공연비를 실제 공연비로 나눈 값이며, 북미에서는 가솔린 엔진에서 주로 사용한다. 디젤 엔진에서는 항시 희박 조건이므로 당량비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당량비(Ø) 식당량비(Ø)=이론공연비/실제 공급 공연비=1/λ= 이론공연비 A/F / 실제 공연비 A/F 당량비(Ø)와 공기 과잉율(λ)과의 관계공기 과잉률(Excess Air Factor)은 이론 공연비와 실제 공연비의 비로서 1 이상이면 공기 과잉 또는 연료 부족(Fuel Lean)이고, 1 이하이면 공기부족 또는 연료과잉(Fuel Rich)이다. 또한 당량비 Ø(Equivalence Ratio)는 공기 과잉률 λ의 역수로.. 2015. 12. 6. 98. 아반떼 타이어 펑크 시 타이어 리페어 킷(Tire Repair Kit) 사용법[자동차 안전/관리] 현대 자동차 아반떼 타이어 펑크 시 타이어 리페어 킷(Tire Repair Kit) 사용법[자동차 안전/관리] 왜 자동차 회사는 타이어 리페어 킷(Tire Repair Kit)을 제공하는가?아마도 가장 큰 이유는 연비 증대를 위한 차량 중량 감소를 위해서 기존의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 대신에 타이어 리페어 킷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가능 큼니다. 일반적인 승용차 타이어 1개의 무게가 8~10kg 정도이니, 자동차 중량을 다른 방법으로 이만큼 절감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요즘 타이어는 어느 정도 내구성은 확보 되었으니 타이어 펑크 시 타이어 리페어 키을 이용하여 대처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타이어 리페어 킷으로 조치 후 자동차 주행 거리는 일반적으로200km 이하이며, 이때 주행 속.. 2015. 12. 5. 38. 자동차 배기가스 제어 시스템, OBDⅠ(On-Board-Diagnosis) 시스템과 문제점 자동차 배기가스 제어 시스템, OBDⅠ(On-Board-Diagnosis) 시스템과 문제점OBDⅠ(On-Board-Diagnosis) 시스템의 기능자동차 배출가스 관련 부품의 오작동 및 고장으로 인한 유해 배출가스가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여차량의 실내의 계기판에 정비 지시등(check engine)을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OBDⅠ(On-Board-Diagnosis) 시스템 배경 및 목적미국에서 환경 보호 규제에서 가장 선진적인 주인 캘리포니아 대기 보전국(CARB, California Air Resource Board)에서 1985년 4월 OBD 법규를 적용하였습니다.. 이 법규는 ECU(Electric Control Unit)가 배출 가스 관련 부품들을 진단하고 이상 발견 시 경고등을.. 2015. 12. 4. 이전 1 2 3 4 5 6 7 8 ···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