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371 165.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보는 법? 165.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보는 법?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현대차 아반떼 취급설명서 참조) ※ 회전저항 (RRC) :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에 대한 회전저항의 비- 1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소비 효율이 높아집니다.※ 젖은 노면 제동력 (G) : 기준 타이어 대비 시험대상 타이어의 젖은 노면 제동성능 비율- 1 ~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력이 좋습니다. 2016. 4. 11.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것들이 있고 그 구조도 매우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승용차 보디의 기본 형상별로 구분했으며 그 기능 및 형상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세단(Sedan) 고정된 객실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객실에 2열의 좌석을 설치한 4∼6인용의 승용차다. 도어(door)의 수에 따라 2도어 세단, 4도어 세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통 4 도어 승용차를 세단이라고 부른다.□ 하드 톱(Hard Top)원래는 금속판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객실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센터 필러(Center Pillar)가 없는 세단형 승용차를 말한다. 루프 부위를 탈부착 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쿠페(Coupe)2도어 세단보다 약간 .. 2016. 4. 9. 11. 자동차 프레임의 구조에 의한 분류 [자동차 프레임 종류] 11. 자동차 프레임의 구조에 의한 분류 [자동차 프레임 종류]1) 페러미터형 프레임(Parameter Frame)주위형 프레임이라고도 하며 객실 바닥의 주위에 센터 프레임 레일을 설치, 보디의 사이드 실(로커 패널)의 바로 내측을 통하는 모양으로 설계된 프레임이다. 객실의 바닥을 낮게 해 무게중심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앞바퀴의 뒤쪽과 뒷바퀴의 앞쪽을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려 토크박스를 설치했기 때문에 앞면 및 후면의 충격 때는 이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객실부의 충격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의 충돌 때에는 센터 프레임이 객실의 변형을 억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2) H형 프레임(H type Frame)프레임이 사다리 형태로 되어 있어 사다리형 .. 2016. 4. 8. 73. 자동차 소물인터넷 (Internet of small Things) 73. 자동차 소물인터넷 (Internet of small Things)간단한 통신모듈만으로 사물 간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저전력, 저비용, 저용량이 특징인 전송기술. 다양한 사물에 적용할 수 있고, 내장된 배터리만으로 장기간 서비스가 가능하다. 아마 멀지 않아 자동차나 자전거와 같은 개인 교통 수단에도 아주 작은 칩으로 이런 소물 인터넷을 적용 하여 차량의 도난, 사고, 범죄예방 등에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자동차 제조사는 자동차의 어느 부분에 소물인터넷 센서를 달까? 자동차 엔진룸, 운전석 주위, 자동차 시트 주위, 아니면 트렁크 부분이 될 것이다. 2016. 4. 7. 1. 자동차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 주요 내용 [자동차 산업경영] 1. 자동차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 주요 내용 [자동차 산업경영] 1. PL(제품 책임)의 정의상품의 생산, 유통, 판매 등 일련 과정에 관여한 자가 그 상품의 결함에 의하여 야기된 생명, 신체, 재산 및 기타 권리에 대한 침해로 인해 생긴 손해에 대하여 최종 소비자가 이용자 또는 제3자에 대하여 배상할 의무를 부담하는 것이다. 2. 결함의 종류와 발생원인1) 제품 자체 결함 ▶ 설계상의 결함- 안전설계의 미비(예상오용에 대한 대비도 포함)- 안전, 기술기준에 불합격- 안전장치의 불비- 주요 안전부품의 내구성 부족▶ 제조상의 결함- 제조상의 품질관리 불량에 의한 안전장치의 고장- 검사오류에 의한 재료 부품의 결함, 조립 불량- 원재료의 불량, 원료혼입 실수- 수송 포장, 보관 등 .. 2016. 4. 5. 10. 자동차 엔진 룸, 객실 룸, 트렁크 룸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자동차 배치] 10. 자동차 엔진 룸, 객실 룸, 트렁크 룸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자동차 배치]승용차는 보통 엔진 룸, 객실 룸 및 트렁크 룸의 배치에 따라 몇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3박스(Three Box) 엔진 룸 이외에 트렁크 룸이 객실과 분리되어 있는 타입으로서 승용차의 대부분이 이러한 형식이다. 보통 세단(Sedan)이라 불리는 자동차는 대부분 3박스 구조이다.2) 2박스(Two Box) 객실과 트렁크 룸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소형 승용차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이다. 승용차의 5 도어나 해치백의 경우 이런 구조이다. 트렁크나 해치백을 열었을 때 차량 내부 공간에 별도의 분리막이 없는 구조이다. 그래서 사람이나 물건이 트렁크를 열어 객실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3) 1박스(On.. 2016. 4. 4.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39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