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71

57. 자동차 엔진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엔진의 배치] 57. 자동차 엔진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엔진의 배치]자동차의 엔진은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대별로 변화하여 왔다. 각각 엔진의 위치에 따른 특징과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1) FR(프런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 Front Engine Rear Drive)1980년대 초반까지 대부분의 자동차에 채용되고 있었던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보닛(후드)을 낮추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객실의 바닥으로 변속기와 추진 축이 지나가는 터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거주성의 제약이 있는 등 문제점도 있다. 2) FF(프런트 엔진 프런트 드라이브, Front Engine Front Drive)객실 부분의 바닥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위한 터널이 없으며 엔진을 횡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주거공간을 넓게 할 .. 2016. 4. 3.
72. 자동차 크기 [자동차 용어: 규격- 최저지상고/휠베이스/오버행] 72. 자동차 크기 [자동차 용어: 규격- 최저지상고/휠베이스/오버행]자동차 카다로그에서 제원을 살펴보게 되면 전장, 전폭, 전고라는 말이 나온다. 전장은 차의 길이를, 전폭은 차의 너비를, 전고는 차의 높이를 가리킨다. 최저지상고는 하체면과 노면사이에 높이를 뜻한다. 보통 하체에서 노면쪽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 액슬(axle) 디퍼렌셜 케이스(differential)나 서스펜션(suspension)에서의 로우암(low arm)등이 최저지상고의 기준이 된다. 2016. 4. 2.
56.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 56.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장 식이나 꾸밈을 말한다. 자동차에서는 프런트 그릴이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주위에 바디색과 다른 약간 튀어나온 한 장식물을 달아 볼륨을 주어 차체 안정감과 고급스러움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사이드 가니쉬 차체 옆면의 디자인을 강조하는 중요한 의장 부착물이다. 2016. 4. 1.
55.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Mud Guard)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 55.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Mud Guard)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Guard) 기능 및 장착 위치타이어로부터 튀어 오르는 진흙이나 작은 돌 들에 의해 자동차의 하체가 팬다(Fender)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타이어의 뒷면에 판모양으로 달려있다.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Guard) 장착 차량고무나 프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 특히 비포장을 질주해야 하는 오프로드(off road), 랠리차량(rally vehicle)들은 필수이며 더 큰 사이즈와 큰 면적의 팬다(Fender)로 교환하는 경우가 많다. 2016. 3. 31.
6.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 [자동차 용어: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6.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 [자동차 용어: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Hybrid Vehicle) 차량이나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의 경우에 전기 모터로 단독 구동시에 엔진음이 전혀 들리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의 보행자나 주위의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보행자에 게 차량접근을 인식시켜 주기 위한 안전 장치로 모터 주행 시 엔진 작동음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가상의 엔진 작동음을 발생시킨다. 2016. 3. 30.
53. 자동차 범퍼(Bump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 53. 자동차 범퍼(Bumper) [자동차 용어: 의장/조립/트림]자동차 범퍼(Bumper)의 기능자동차의 앞 뒤에서 바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서 외부물체와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범퍼(Bumper)의 구조 및 재질 변경예전에는 차체 프레임을 이용한 강철 범퍼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미국에서 안전을 위한 5마일 범퍼등, 크기가 부풀어진 범퍼가 사용되기 시작하며 현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형의 에너지 흡수 범퍼 구조가 일반화되어 있다.내부 재질로는 우레탄 등이 쓰이며 충격 흡수 정도가 뛰어나다. 근래 이런 범퍼는 그 형태가 자동차 바디와 일체형으로 디자인되고 만들어져 장식을 겸한 부품의 개념도 겸하고 있다.자동차 범퍼(Bumper)의 부품 구성범퍼가드, .. 2016.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