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371 47. 자동차 Limp Home(Fail Safe) 기능 자동차 Limp Home(Fail Safe) 기능Limp Home의 뜻은 “다리를 절면서 집으로 간다”는 말로, 차량의 센서 등의 일부가 고장 발생 시 ECU가 액츄에이터를 기본적인 값으로 다시 Re-set 하여 차량의 초기 공장 입고 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동일한 용어는 Fail Safe 기능이라고도 한다. 2015. 12. 17. 46. DBL(Diurnal Heat Breathing Loss, 주간 가열 시험) DBL(Diurnal Heat Breathing Loss, 주간 가열 시험)연료 탱크 내에 연료를 임의로 가열시켜 증발되는 증발 가스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2015. 12. 16. 45. HSL(Hot Soak Loss, 고온 소크 시험) HSL(Hot Soak Loss, 고온 소크 시험)차량이 주행 완료 후 차량 연료 탱크 내 연료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 자연적으로 증발되는 증발가스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2015. 12. 16. 44.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목적1990년 EPA에서 개정된 규정으로, 주유소에서 연료 주입 시 탱크 내의 증발되는 HC Vapor 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캐니스터로 이동 시켜서 HC 가스의 대기 방출을 방지하고, HC 가스 누출을 알려주는 경보 시스템이다.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규제치누출 규제치는 0.2 g/gal (0.053 g/l)이다.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기능 정의1) 증발 가스를 채집해서 .. 2015. 12. 16. 14. 자동차 연료 전지의 작동 원리 14. 자동차 연료 전지의 작동 원리일반적으로 물에 직류 전기를 흘리면 물이 분해되어 수소와 산소가 된다. 그와 반대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키면 전기와 물이 나온다. 자동차 연료 전지는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연료로부터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변환장치이다. 수고와 산소를 반응시키면 급격한 반응이 일어나 물과 열이 발생한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직접 만나지 않고, 이온상태로 만나게 하여 물과 전기를 생성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수소를 이온 상태로만 통과시키는 이온 교환막이 한다. 이온 교환막을 사이에 두고 수소와 공기를 흘려 주었을 때, 수소가 교환막과 만나면 전자를 내주면서 이온이 된다. 이온은 교환막을 지나가고 전자는 외부로 연결된 도선을 타고 반대쪽 공기가 있는 쪽으로 간다. 공기 .. 2015. 12. 15. 5. 자동차 전기 42V 시스템은 왜 필요한가? 자동차 전기 42V 시스템은 왜 필요한가?차량용 42V 전원 시스템은 늘어나는 차량 내 전기 용량으로 인해 기존 14V의 전원으로는 부족하여, 고효율 고용량의 발전시스템을 구축한 시스템이다. 42V 전원 체계는 신호 대기나 정차 시 엔진 정지와 가속 혹은 오르막길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엔진 출력을 지원함으로써 연료 소모량 감소와 더불어 매연을 줄이는 장점도 있다.자동차 42V(High Voltage)전원 시스템의 장점□ 전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효율 증대- Wiring 시스템의 크기와 무게 감소- 자동차용 반도체 가격과 크기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새로운 전장 시스템의 도입이 가능하다- 전자기계 밸브(electromechanical valves), 전자 서스펜션(electro activ.. 2015. 12. 14. 이전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39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