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371 43 자동차의 Run-on 현상? 자동차의 Run-on 현상?Run-on이란 점화 스위치의 키를 뽐은 상태에서도 기관이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연소실에 미연의 연료가 남았든지, 연소실로 연료가 계속 공급되어 스파크를 일으킬 수 있는 열점이 있기 때문이다. Run-on 시간은 짧으면 좋으며, 이것을 구조적을 방지하지 못하면 자동차가 key off 시에도 주행이 가능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2015. 12. 14. 13. 친환경 자동차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친환경 자동차의 가장 선진적인 자동차는 아무래도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 자동차에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Car), PHEV(Plug-in Electric Car), 순수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대 자동차 경쟁력 있는 투싼(Tucson)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를 2015년에 양산을 시작하였습니다.수소연료 전지 자동차(FCV; Fuel Cell Vehicle) 개념연료 전지 자동차는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 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의 일종이다. 연료 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는 발전 장치로 수소.. 2015. 12. 11. 12. 친환경 자동차 연료, 수소 연료 소개 12. 친환경 자동차 연료, 수소 연료 소개최근의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자동차 내연 기관의 배기가수 중의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수소 연료 자동차는 아주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2015년에 출시한 현대 자동차 투싼의 수소 연료 자동차는 단연 친환경 자동차 부문에서 앞서 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수소의 연료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수소 연료의 특징기존 내연기관의 탄화수소의 화합물이 아니라, 탄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수소 1킬로그램을 산소와 결합하면 3만 5천 kcal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같은 질량의 다른 연료인 프로판, 부탄, 휘발유, 등유 등과 비교하면 3배에 가까운 에너지입니다. 수소 연료 에너지의 확보수소를 확보하는 기술에는 열화학 사이클법, .. 2015. 12. 11. 4. 친환경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구성과 주요 부품 소개 친환경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구성과 주요 부품 소개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정의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역사가솔린 자동차가 출현되기 훨씬 이전인 1873년 영국의 R. Davidson에 의해 최초로 제작되었으나 1차 세계대전 후 정유 산업의 발달과 내연 기의 기술적 진보에 따라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80년대에 들어서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공해문제가 대두되면서 그 해법으로 전기자동차의 사용이 제시되었으나 축전지 기술부족으로 상용화가 미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자 산업의 발달에 따른 .. 2015. 12. 10. 1. 현대 자동차 국내 첫 독자 개발 모델, 포니(Pony) 현대 자동차 국내 첫 독자 개발 모델, 포니(Pony) 한국의 자동차 독자 개발의 시대를 연 포니(Pony)현대자동차의 첫 독자생산 모델(고유모델)이자 한국산 자동차 최초의 독자생산 모델입니다. 포니는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을 미쓰비시에서 라이센스 생산 방식으로 들여왔습니다. 디자인은 현대 자동차 정세영 회장이 이탈리아의 36세의 젊은 디자이너인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맡았습니다. 자동차 디자인의 한 획을 긋는 이태리의 거장입니다. 당시에 자동차의 플랫폼을 구하기 위해 GM과 포드와 협상을 했으나 실패하였습니다. 결국 미쯔비시 구보 도미오 회장의 한국 가족을 이용하여 미쯔비시와 기술 이전 협상을 체결하여 개발하였습니다. 현대자동차 포니(Pony)의 사양출시일자1975년 12월 1일프로젝트코드명110엔진미쓰비시 .. 2015. 12. 10. 14. 현대 자동차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소개 현대 자동차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소개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의 목적은 무엇인가요?타이어의 공기압 경보장치는 타이어 공기압이 정비 규정값이 이하 일 때 계기판에서 자동으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경고등을 점등 시켜 줍니다. 그러면 운전자는 정비소나 주유소에 가서 문제가 되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확인 후에 공기압을 규정값으로 다시 설정해 줘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Tire Pressure)은 왜 중요할까?타이어 공기압은 단순히 자동차의 승차감 뿐 만 아니라 타이어의 수명, 타이어의 편마모, 제동력, 자동차 연료 소모에도 .. 2015. 12. 9. 이전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39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