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32

전기 자동차용 2차 전지의 조건 및 개발 현황 전기 자동차용 2차 전지의 조건 및 개발 현황 전기 자동차용 2차 전지의 현황 전기 자동차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전지기술의 발전이 절대적이다. 안전, 충전 시간, 전력 전달, 극한 온도에서의 성능, 환경 친화성, 수명이 오늘날 전기자동차에 이용할 수 있는 충전식 전지 기술의 문제이다. 전기 자동차는 리튬이온 전지, 리튬폴리머 이온 전지를 제풍에 채용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도요타 자동차의 프리우스, 캠리, 하이랜더는 밀폐형 Ni-MH 전지팩을 사용하여 전기모터에 공급하였으나 리튬이온 전지와 비교할 때 Ni-MH의 전력 수준이 낮고 자가 방전율이 높아 전기 자동차에는 극히 불리하고, 보관 수명이 3년에 불과한 Ni-MH는 EV에는 적합하지 않다.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전기 자동차에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하지.. 2020. 5. 7.
이차 전지의 개념 및 종류 이차 전지의 개념 및 종류 이차 전지(secondary cell, storag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이전 명칭 축전지(accumulator)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라는 명칭도 쓰인다. 흔히 쓰이는 이차 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금속 수소 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가 있다. 이차 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을 모두 제공한다. 이차 전지는 표준 AA, AAA, C, sub_C,.. 2020. 5. 6.
전기 자동차/전기 자전거의 출력 및 토크 값의 정의 전기 자동차/전기 자전거의 출력 및 토크 값의 정의 W(와트)와 Nm(뉴톤.미터)로 표시 차이점 전기 자전거 및 자동차의 모터 규격을 보면 모터의 출력표시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300W /500W / 750W 와 같이 W로 표시하는 제조사들이 있고, 65Nm / 70Nm 등 Nm로 표시하는 메이커가 있다. W은 출력이고, Nm는 토크이다. 1. 토크의 정의 토크의 단위는 Nm를 사용하며, 10Nm = 1kgf을 1m 거리에서 들릴 수 있는 힘 1kgf×중력가속(축의 거리 1m) Kgf(킬로그램 포스)는 1Kg의 물체가 중력에 의해 누르는 무게이고, 이를 Nm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중력가속도 9.8m/s를 곱하면 Nm로 변환된다. 1kg×9.8 m/s , 1Kgf = 9.8Nm (보통 계산의 편의를 위해 .. 2020. 5. 5.
OCV(open-circuit voltage) OCV(open-circuit voltage) 전압이란 것은 "electric potential level"입니다. 즉 전기적인 위치인데 정확한 전압을 재는 것은 아주 힘든 과제이다. 여기서 OCV란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V=IR 이란 식을 보면 R(저항)이 무한대로 증가하면 I(전류)는 0에 가깝게 된다. 즉 전압을 체크할 때 아주 큰 저항을 걸어 전류의 흐름을 최소한으로 하면 최대한 실제값에 근접한 전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소숫점 유효숫자 수에 따라 측정장비 값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왜냐 하면 모든 물체는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비례하여 저항도 증가하게 되고 이것은 전압강하 또는 전압상승을 가져 온다. 다시 말하면 충전 할 때는 전압상승 효과가 발생하여 4.2V .. 2020. 5. 3.
자동차용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의 소개 리튬폴리머 전지는 리튬이온 전지와 작동 원리와 구조와 거의 동일하나 리튬 이온 전지의 전해액을 고분자물질로 대체하여 안정성을 높인 전지이다. 또한 리튬폴리머 전지는 음극으로 리튬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와 카본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카본음극을 사용하는 경우와 구별하여 리튬이온폴리머 전지도 부르나, 통상 리튬폴리머 전지로 통용된다. 리튬폴리머 전지의 특성 리튬폴리머 전지는 전해질이 고체이기 때문에 전해질의 누수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또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전지팩을 제조할 수 있어 기존의 리튬이온 전지에서 원통형 및 각형전지로 전지팩을 제작할 경우 전지와 전지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을 절약 할 수 .. 2020. 4. 21.
니켈 수소 전지(Ni-MH) 니켈 수소 전지(Ni-MH) 나켈-수소 전지는 니켈-금속수소화물 전지(MH는 metal hydride의 약자임)의 약칭으로 기존의 니켈-카드뮴(Ni-Cd) 전지에 카드뮴 음극의 중금속 오염을 개선하여 수소저장합금을 사용하였다. 1990년 이후 전자 기기들의 소형, 경량화에 따라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전지의 요구 조건은 고에너지 밀도화, 소형 경량화, 수명 연장 등 요구되나 기존의 광범위하게 사용 되었던 니켈-카드뮴 전지나 납축전지로서는 이상 새로운 성능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명확하였다. 특히 환경오염 문제로 니켈-카드뮴 전지와 납 전지로서 더 이상 대응 하기가 어려워졌다. 최근의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는 리륨이온 전지 및 리듐폴리머 전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나, 2000년대에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 2020. 4. 12.
반응형